구조론번역

Intellectuals error VS public misjudgment

 

두 가지 바보짓이 있다. 지식인의 흑백논리 삽질과 대중의 요행수 삽질이 그것이다. 지식인은 경직된 프레임을 걸고 종파놀음, 이념놀음에 분주하다. 이분법적 상황으로 몰아가서 양자택일을 강요한다. 그들은 전술적 유연성이 없고 경직된 판단을 내린다. 왜인가? 인간은 죽어보자고 말을 안 듣는 동물이기 때문이다. 인간들을 통제하려면 좁은 구석에 가두어 강체로 만들어야 한다. 부하들이 만만히 보고 기어오르지 못하게 기를 꺾어놔야 한다. 지식인의 삽질은 말 안듣는 대중을 제압하고 굴복시켜 복종하게 만들려는 권력적 의도 때문이다. 문제는 자신의 그러한 심리를 깨닫지 못하는 점이다. 자신이 두목 침팬지의 비뚤어진 마음으로 대중을 제압하려고 권력행동을 한다는 사실을 모르고 그것을 옳고 그름의 판단문제로 여긴다.

There are two foolish, vain efforts. It is black-and-white logic of intellectuals and hoping luck by chance of the public. Intellectuals are trapped in rigid frames and immersed in religious sect play and ideological play. Everything is divided into dichotomy and forced to choose only one. They have no tactical flexibility and make rigid judgments. Why? Because humans are basically animals against everything. So to control humans, they think 'I have to lock them in a narrow place and make them the solid. And I have to overpower subordinates so as not to be such a pushover.' The intellectual's vain effort is due to intention to subdue the disobedient public with power and make them obey. The serious thing is that they don't realize that kind of psychology. They don't know that they have the perverse mind of the boss chimpanzee and use the power to subdue the public, and misunderstand their behavior as a matter of judgment of right and wrong.


유가 강을 이긴다. 유는 애매하고 강은 확실하다. 지식인은 확실한 강에 끌린다. 부드럽게 행동하면 대중이 자신을 경멸한다고 여긴다. 천만에. 초반에 애매하던 사건이 점차 강력해진다. 처음부터 유가 강을 이기는게 아니다. 사건이 커져서 내부에 밸런스가 작동해야 비로소 유가 강을 이긴다. 사건이 커지면 닫힌계 내부에서 각운동량 수렴이 일어난다. 어느 순간 강체가 유체로 변하고 큰수의 법칙이 작용하여 애매하던 확률이 명확해진다. 게임은 초반 51 49의 애매함으로 시작하다가 엔트로피의 비가역성이 작동하여 100 0으로 기울어 버린다. 문제는 초반의 애매한 단계를 거쳐야 강력해지는데 지식인은 처음부터 강고한 이분법으로 가려는 것이다. 대중을 가둬놓고 조지려는 두목 침팬지의 동물적 본능이다. 대중의 자발적인 창의성을 끌어내지 못하고 고지식한 군대가 된다. 융통성 있는 전술구사가 불가능하다. 신참 소위가 교범에 집착하다가 고문관 소리를 듣는다.

Softness beats strongness. Softness is vague, and strongness is vivid. Intellectuals are attracted to definite strongness. If they behave gently, they think the public ignores them. That's not true. The event, which was ambiguous at the beginning, becomes increasingly powerful. Softness don't beat strongness from the beginning. When the event grows and the balance operates inside, then softness beats strongness. And the convergence of angular momentum occurs inside the closed system at the same time. At one point, the solid turns into the fluid, and the vague probability becomes clear due to large number of laws. The game starts with an initial 51 to 49 and then completely tilts to 100 to 0 due to the irreversibility of entropy. So it is important to overcome the initial ambiguity, but intellectuals strongly push the dichotomy from the beginning. It's the boss chimpanzee's animal instinct, trying to keep the public locked up and subdued. It does not attract the voluntary creativity of the public and becomes an hardhead army. And it also becomes impossible to use flexible tactics. A new lieutenant is obsessed with a field manual and called an blue falcon.

 

송양지인의 고사가 그러하다. 전쟁에 예의를 차리기는 개뿔. 기습을 하려면 병사들을 흩어야 하는데 병력을 흩으면 지휘관의 말을 듣지 않는다는 강박관념 때문이다. 징기스칸은 강력한 중앙집권을 고수하면서도 수부테이에게 전권을 주고 간섭하지 않았는데 대개 그렇게 못한다. 엘리트는 대중들과 같은 공간에서 부대껴보지 않았기 때문에 대중에 대한 공포심을 가지고 있다. 진중권의 대중에 대한 불신과 같다. 롬멜과 패튼은 대중을 겪어봐서 대중의 마음을 잘 알기 때문에 기습이든 우회기동이든 못하는 것이 없었는데 말이다.

So is the old story of Songyangjin. There is no courtesy in war. Soldiers must be dispersed in order to raid in the war. But the commander couldn’t do it because he was afraid of losing courtesy and right to command. Genghis Khan stuck to a strong centralized rule, but gave Subutei full authority and did not interfere. People can't usually do that. Elites have a fear of meeting the public because they haven't lived together in the same space as colleagues. That's why Jin Jung-kwon distrusts the public. Rommel and Patton knew the public's mind well, as they had experienced the public. Whether it was a surprise attack or a detour tactic, there was nothing they couldn't do.

 

말 안듣는 대중들도 문제가 있다. 초심자의 행운을 믿고 함부로 도박을 한다. 지리멸렬주의, 쇄말주의, 신변잡기주의에 매달린다. 사소한 것에 집착하고 큰 흐름을 방해한다. 승부는 천하에서 나는데 구석에서 작은 트집거리를 발굴한다. 각종 음모론, 사차원, 괴력난신, 요령, 꼼수, 행운, 주술에 기대는 머저리 행동이다. 이들은 전쟁 초반의 애매한 상태에 머무르려고 한다. 지식인은 대중을 이분법 틀에 가둬서 조지려고 하고 대중들은 반대로 틀에 가둬지지 않으려고 한다. 중요한 것은 이것이 인간의 무의식이며 동물적 본능이라는 점이다. 호르몬이 인간을 그렇게 몰고 간다.

What about the public who are against everything? They believe in beginner's luck and gamble recklessly. They indulge in boring, disorderly, trivial, and small things and interfere with the big flow. Even though the game is going on in the big world, they just make small quarrels in the back alley. They bets everything on conspiracy theories, four dimensions, superpowers, tricks, luck, and magic. They are so cowardly that they try to remain ambiguous at the beginning of the war. Intellectuals try to subdue the public by locking them in a framework of extreme dichotomy, while the public, on the contrary, tries not to be trapped in a framework. Nonetheless, all of these conflicting tendencies are human unconscious and animal instincts. Hormones drive humans like that.

 

징기스칸은 귀족출신이었지만, 중간에 노예생활을 겪으며 민중의 이중적인 마음을 확실히 이해할 수 있었다. 민중은 리더에게 복종하기를 원하지만 복종할 가치가 있는지 떠본다. 소대장 길들이기다. 부하를 가혹하게 다룬 곽거병과 패튼의 인기는 매우 좋았다. 병사들은 두들겨 맞으면서도 그런 지휘관을 원했다. 카이사르도 지면 부하를 탓했지만 병사들은 따랐다. 반대로 지면 내탓이오 하는 착한 지휘관은 인기가 없다. 부하를 꾸짖을 수 있는 지휘관이 진짜다. 부하에게 권력을 줘야 꾸짖을 수 있다.

Genghis Khan was a nobleman, but he clearly understood the dual feelings of the public as he experienced slavery. The public wants to obey their leaders, but they must make sure they are worth obeying. It is taming the leader. Kwak Geo-byeong and Patton, who treated their subordinates harshly, were very popular. The soldiers wanted such a commander even though they were severely punished. Caesar also scolded his men when they lost, but the soldiers followed him very well. On the contrary, a polite commander who 'blames himself when they lose' is not popular. A man who can scold his subordinates is the real commander. Give power to your subordinates, you then can get the power to scold them when they do something wrong.

 

징기스칸은 가두기와 풀어주기를 자유자재로 구사한다. 때로는 엄격한 군율로 이기고 때로는 민중의 자발적인 창의성으로 이긴다. 반면 징기스칸의 라이벌 자무카는 노예출신이라서 귀족의 카리스마를 얻지 못했다. 그는 풀어주기만 하고 가두지 못했다. 사람을 제압하는 귀족의 마음을 가져보지 못했다. 남의 가랑이 밑을 긴 한신 역시 황제의 마음을 가져보지 못해서 결정적인 순간에는 소심하게 행동했다. 부하들을 다룰 때는 기술자가 기계를 만지듯이 능란하게 다루지만 자신과 체급이 같은 사람을 만나면 정무적인 판단을 회피한 것이다. 한신은 그때 그 가랑이 밑을 기지 말았어야 했다.

Genghis Khan is good at locking and releasing. He sometimes wins with strict military rule, and sometimes with the voluntary creativity of the people. On the other hand, his rival Jamuka was a slave, so he did not know the charisma of the aristocracy. He could just do releasing but couldn't do locking. He'd never had the heart of a nobleman to overpower the public. Hanshin, who crawled under someone's crotch, also acted timidly at critical moments because he did not have the emperor's heart. When dealing with his subordinates, he handled them as skillfully as a machine, but when meeting a person of the same weight as himself, he avoided political judgment. He shouldn't have crawled under the crotch at that time.

 

인간을 지배하는 것은 동물의 영역본능, 세력본능, 서열본능이다. 환경과 인간의 게임이 벌어지면 그 사이에 권력이 작동한다. 영역과 세력과 서열이 권력을 만든다. 자신이 이성적으로 판단했다고 믿지만 천만에. 실제로는 집단속에서 흐름을 타고 분위기에 휘둘린 것이다. 외부에서 온 타자는 본능적으로 경계하며 텃세를 부린다. 간부는 사병의 주적이라고 선포한다. 일본 카레집 알바생은 음식에 이물질을 넣는다. 하인들은 주인이 먹을 커피에 침을 뱉는다. 귀족은 두둑한 팁으로 하인의 도발을 무마한다. 미국인들은 믿을 수 있는 단골식당만 이용한다. 식당주인은 뜨내기 손님을 차별한다. 어느 바닥을 가도 신고식을 강요한다. 온갖 차별과 배신이 일어나는 이유다. 우리는 문명중독에 걸려서 그것이 인간의 무의식이요 본능이라는 사실을 놓친다. 못 배운 사람이 무지에 의해 차별을 일삼을 뿐 자기는 차별하지 않는다고 착각한다. 너희들이 몰라서 그러는데 성소수자는 원래 타고 나는 거야. 그게 전염되는게 아니라구. 알겠니? 이렇게 사실을 알려주면 된다고 믿는다. 엘리트도 뒤로 인맥놀음, 학벌놀음, 연고놀음에 빠져 있기는 매한가지다. 그게 동물의 영역본능, 세력본능, 서열본능이다.

When environment and humans play games with each other, power works between the two. It is animal territory instinct, influence instinct, and rank instinct that governs humans. And power is formed by territory, influence, and rank. People believe they always judge rationally, but never. In fact, they fell into the atmosphere, riding on the flow of the group. We are instinctively wary of outsiders and mark our territory. In the military, enlisted men regard officers as main enemies. A part-time worker at a Japanese curry restaurant puts foreign substances in food. Servants spit on the owner's coffee. So owners give the servant a hefty tip, and Americans only use reliable regular restaurants. Restaurant owners discriminate against a chance customer, and freshmen undergo harsh hazing in most organization. And all kinds of discrimination and betrayal follow. As civilization addict, we do not know that it is human unconscious and instinct. Ignorant people discriminate with ignorance, but they think themselves that 'they never discriminate'. "You guys don't know. Sexual minorities are born like that. It's not an epidemic. Do you understand?" You may believe if you tell the truth like this, everything will be solved.

Even elites are immersed in personal connections play, academic elitism play, and regionalism play. It is no different from animal territory instinct, influence instinct, and rank instinct.

 

개는 오줌으로 영역을 표시하고 인간은 텃세로 영역을 표시한다. 고양이는 눈 밑의 취선을 문질러서 주인의 몸에 자기 냄새를 묻혀놔야 안정감을 느낀다. 인간은 신고식을 거치며 감정을 교류해야 안정감을 느낀다. 어떻게든 꼭 애를 먹이고 만다. 공자의 극기복례가 필요한 이유다. 인간이 동물과 같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많은 것이 자신의 판단이 아니고 무의식의 판단, 호르몬의 작용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지식인은 초반의 애매함을 받아들이고 융통성 있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 어떤 핵심을 잡은 다음에 강력한 자세로 갈아타야 한다. 민중은 상대의 반응을 떠보려는 찔러보기를 삼가야 한다. 요행수에 기대지 말고 교범과 훈련의 힘을 믿어야 한다.

Dogs mark their territory with urine, and humans mark their territory with rejecting newcomers. For a sense of stability, the cat rubs its a stink gland under its eyes and smears its owner's body with its smell. Humans feel stable by exchanging emotions through hazing. They make sure to harass the newcomer. You have to admit that humans are animals. It is important to realize that much of it is not due to rational judgment, but to unconscious decisions and the secretion of hormones. Intellectuals admit to the ambiguity of the beginning of the game and show a flexible attitude. You can change ambiguous mind to strong conviction only after you get to a key point. The public should also not touch other people's feelings to check the reaction. Don't rely on luck and believe in the power of discipline and training.

The spirit of Confucius' geugkibogreo is needed.

*geugkibogreo: It means overcoming personal greed and going back to the right virtue of the world.


유체는 풀어야 강하고 강체는 가둬야 강하다. 전략적 풀어주기와 전술적인 가두기를 자유자재로 구사해야 한다. 거만한 항우와 귀족출신 송양공은 민중을 풀어주지 못했고, 소심한 자무카와 한신은 부하를 가두지 못했다. 이 정도면 되었다고 생각한 것이다. 지방 호족 정도로 자신의 지위를 낮게 규정한 것이다. 진중권들의 가둬놓고 조지려는 마음은 항우의 실패와 같고 송양공의 실패와 같다. 김어준들의 무턱대고 풀어주려는 마음은 촌놈 주제에 이 정도면 출세했다고 생각한 자무카와 한신의 마음과 같다. 항우와 송양공은 어리석어서 죽었고, 자무카와 한신은 모질지 못해서 죽었다. 우리는 끝까지 가야 한다. 가다가 도중에 주저앉아 구석에 틈새시장을 열지 말고 천하인의 길을 계속 가야 한다.

The fluid must be released to become stronger and the solid must be locked up to become stronger. Strategic release and tactical lock-up must be skillfully used. The arrogant Hangwoo and noble Song Yanggong could not release the public, and the timid Jamuka and Hanshin could not lock up their subordinates. They thought that would be enough. They defined their position as low as a local lord. The locked-up and oppression of Jinjungkwon style is the same as the failure of Hangwoo and Songyanggong. Kim Eo-jun's endless desire to release is the same as that of Jamuka and Hanshin, who thought that a countryman was successful enough. Hangwoo and Songyanggong died because they were stupid, and Jamuka and Hanshin died because they couldn't be harsh. We have to go to the end. Don’t sit down on the way and turn your eyes to the side way, but become an broad-minded adult who continues to the main street.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33 관점과 관념 5장 권력과 동원 dksnow 2022-05-30 343
132 강자의전략 6장: 전략과 전술 천분의일 2022-05-28 354
131 강자의전략 5장: 오자병법 손자병법 천분의일 2022-05-27 441
130 강자의 전략 4장: 유체에서 강체로 천분의일 2022-05-24 346
» 강자의 전략 3장: 지식인의 오류 대중의 오판 천분의일 2022-05-21 397
128 강자의 전략 2장: 열린주의 등판 천분의일 2022-05-19 294
127 관점과 관념 4장 이데아 구조론 dksnow 2022-05-17 376
126 강자의 전략 1장: 공의주의 공리주의 천분의일 2022-05-16 336
125 의사결정주체 9장: 자유의지론 천분의일 2022-05-14 288
124 의사결정주체 8장: 상호작용론 천분의일 2022-05-12 315
123 관점과 관념 3장: 심리적 지정학 dksnow 2022-05-10 318
122 의사결정주체 7장: 결정론의 오류 천분의일 2022-05-10 286
121 관점과 관념 2장 바른말을 하자 dksnow 2022-05-09 342
120 의사결정주체 6장: 주체성과 타자성 천분의일 2022-05-09 281
119 관점과 관념 1장 관념에서 과학으로 dksnow 2022-05-06 348
118 의사결정주체 5장: 공자의 주체성 천분의일 2022-05-04 408
117 의사결정주체 4장: 바가바드 기타 천분의일 2022-05-02 281
116 의리 결정 주체 3장 의리 게임 자유 천분의일 2022-04-28 390
115 의사 결정 주체 2장: 소인배의 이겨먹기 천분의일 2022-04-28 281
114 사건의 해석: 12장 공자의 해석 dksnow 2022-04-25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