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092 vote 0 2016.07.18 (19:43:50)

     

    모든 것의 근원은 ‘토대의 공유’ 곧 중첩이니 에너지라 한다. 중첩이 불균일을 이루므로 모순되니 일정한 조건에서 풀리고, 그 풀리는 순서와 방향따라 결을 이루니, 결따라 다섯 매개변수가 있다. 중첩이 엮인 것이 인因이면, 풀린 것이 과果로 합쳐서 인과법칙을 이루니 이에 의지하여 세상이 작동한다. 인과법칙에 대한 수학적 접근이 근대과학의 근간이 됨은 물론이다.


    문제는 중첩이 풀리는 과정이다. 중첩이 풀리면서 움직이는데, 그 움직여간 지점에서는 계가 깨져 있으므로 움직이는 동적 상태로 정지해 있으니, 외부의 정지한 것과 만나면 충돌하여 또다른 엮임을 이루는 바, 특정조건에서는 상대적인 중첩성질을 가지므로 에너지와 유사하나 이미 계가 깨진 상태여서 통제가능하지 않다는 점에서 에너지가 아니므로 준에너지라 하겠다.


    준에너지는 특정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하지만 곧 에너지가 고갈되므로 착각을 유발한다. 즉 에너지가 아닌데도 에너지로 보이는 것이다. 절대적으로는 에너지가 아니나 상대적으로는 에너지다. 통제할 수 없지만 운이 좋으면 써먹을 수 있고 곧 고갈되므로 망하게 된다. 버릴 수도 없고 취할 수도 없으니 계륵이다. 여기에 낚이면 보수꼴통, 상대주의, 손자병법, 실용주의다.


    잠시 흥하나 장차 망하는 길이다. 근데 대부분 낚여있다. 일시적으로는 분명히 이득을 주기 때문이다. 동은 시간을 쓴다. 그래서 속는다. 연료통의 석유는 언제든 쓸 수 있다. 그러나 달리는 자동차를 멈춰세우면 얻는 관성의 힘은 자동차를 멈출 때만 쓸 수 있다. 그것을 쓰기 위하여 멈추면 에너지가 사라진다. 그러나 계속 쓸 수 있다는 착각에 빠지므로 흔히 오판한다.


    살펴보면 거의 모든 오류가 이 하나의 착각에 기초함을 알 수 있다. 곧 운동에너지다. 위치에너지는 계가 있고 운동에너지는 계가 없다. 계를 만들려면 추가비용이 든다. 계를 만들지 않으면 특정한 방향으로만 일시적으로 쓸 수 있다. 정치인들이 속임수로 집권하는 것과 같다. 에너지를 쓰면 에너지가 사라져서 지속가능하지 않게 된다. 위기에 1회용으로 쓸 수 있다.


    완전성의 문제다. 위치에너지는 계가 있으므로 인간이 자의로 통제할 수 있다. 운동에너지는 계가 없으므로 통제할 수 없다. 계가 있는 위치에너지와 계가 없는 운동에너지를 구분하는 방법으로 완전성을 깨달을 수 있다. 인간이 저지르는 거의 모든 오류가 이 하나의 착각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1회용으로는 사용이 가능하므로 운동에너지를 아주 무시할 이유도 없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571 구조론 총정리 4 김동렬 2016-07-19 6434
» 모든 것의 근원 김동렬 2016-07-18 6092
3569 사랑 123, 화수분 인생 1 김동렬 2016-07-18 5614
3568 완전성으로 출발하라 image 1 김동렬 2016-07-17 5654
3567 언어의 족보를 찾아라 1 김동렬 2016-07-15 6114
3566 계속 가는 자가 승리자다 1 김동렬 2016-07-13 6171
3565 나머지의 나머지 6 김동렬 2016-07-13 5955
3564 나머지 이야기 2 김동렬 2016-07-12 5771
3563 진짜 이야기 마지막 6 김동렬 2016-07-11 6433
3562 진짜 이야기는 이런 거다 김동렬 2016-07-09 6544
3561 평론하는 비겁자는 되지 마라 김동렬 2016-07-09 5625
3560 진짜 이야기를 하자 4 김동렬 2016-07-08 6368
3559 보편 평등 민주 자본 사회 김동렬 2016-07-07 6227
3558 사랑 120, 갈 길이 멀다 1 김동렬 2016-07-07 5613
3557 모순이 있어야 정상이다 1 김동렬 2016-07-06 6236
3556 알아서 해라 5 김동렬 2016-07-05 7001
3555 공자의 최종결론 김동렬 2016-07-05 6219
3554 승리자의 길로 가야 한다 김동렬 2016-06-29 6571
3553 공자선생의 정답 김동렬 2016-06-28 6209
3552 사랑 119, 사랑의 통제권 1 김동렬 2016-06-27 5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