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331 vote 0 2016.04.26 (23:41:41)

     

    조수석에서는 같은 길을 백날 가도 길을 외우지 못한다. 한 번 핸들을 잡느니만 못하다. 조수석에 앉은 사람은 건물이나 육교와 같이 눈에 띄는 표지 중심으로 보지만, 운전자는 길이라는 시소에 건물과 풍경을 태워서 맥락으로 본다. 구조론도 마찬가지다. 조수석에서 보면 어렵게 느껴진다. 창조자의 관점을 획득하지 않으면 안 된다. 에너지를 운용한다는 자세가 아니면 안 된다. 낙담할 필요는 없다. 모든 사람이 운전자가 될 이유는 없으니까. 운전기사를 믿고 두려움없이 갈 수 있는 좋은 승객이 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생각의 정석 101회]


    구조론이 어렵게 느껴지는 사람은 일단 한국어가 안 된다는 근본적인 장벽에 막혀있는 것이다. 수학문제와 국어문제를 구분하지 못한다. 수학은 추상의 세계다. 구조론도 마찬가지다. 추상은 살을 빼고 뼈를 논한다. 군더더기 추려내고 핵심을 논한다. 의사결정이 일어나는 지점만 본다. 상대성이 성립하는 지점은 빼고 절대성이 성립하는 지점만 다룬다. 특수성이 성립하는 지점은 빼고 보편성이 성립하는 지점만 다룬다. 상대성의 문제를 들이대는 사람은 수학시간에 국어질문 하는 사람이다. 일단 국어가 되어야 한다. 대개 이 장벽에서 막혀 있다. 적어도 국어문제는 스스로 넘어야 한다. 한국어 정도는 익히고 와야 한다.


aDSC01523.JPG


    세상은 구조입니다. 구조는 일의 구조입니다. 일은 의사결정의 연결입니다. 그러므로 구조는 의사결정구조입니다. 의사결정이 일어나는 그 부분만 논한다는 겁니다. 의사결정은 대칭을 사용합니다. 그러므로 구조는 대칭구조입니다. 대칭은 축과 날개로 되어 있습니다. 즉 처음부터 두 개가 세트로 들어갑니다. 이것이 절대성입니다. 상대성은 그 대칭을 이룰 상대쪽이 없는 상황입니다. 상대성이 작용하는 지점은 축 1과 날개 2의 대칭구조가 만들어지지 않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의사결정을 못하는 부분입니다. 그 부분은 논외입니다. 강자와 약자가 싸우면 당연히 강자가 이깁니다. 그런데 강자가 지금 잠들어 있다면? 강자와 약자의 대칭이 성립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강자와 약자가 싸우는 상황이 아닌 거죠. 그럴 땐 약자가 이길 수 있지만 그렇다고 약자가 이겼다고 할 수 없습니다. 싸움이 아니라 살인이니까요. 국어를 몰라서 진술을 잘못한 거죠. 국어공부를 안 하면 이런 오류가 일어납니다.


[레벨:11]큰바위

2016.04.27 (06:42:54)

정의  definition 를 제대로 못해서 일어나는 문제입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4.27 (10:33:40)

[생각의 정석 101회] [YS특집] 김영삼의 리더쉽

http://gujoron.com/xe/641382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738 벤처, 어떻게 할 것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20 13695
3737 인류의 뇌가 작아졌다고? image 김동렬 2017-02-17 13541
3736 권력이란 무엇인가? image 4 김동렬 2017-02-16 14772
3735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image 8 김동렬 2017-02-14 19875
3734 마음이 바래는 것은? image 김동렬 2017-02-13 14064
3733 영화 컨택트를 보고 image 3 김동렬 2017-02-13 16120
3732 포지션을 얻은 다음 버려라 image 3 김동렬 2017-02-12 14249
3731 마음은 안정되려고 하나 image 2 김동렬 2017-02-11 14377
3730 마음의 마음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7-02-10 14331
3729 존재론과 인식론의 구분 image 김동렬 2017-02-09 14647
3728 컨택트 (Arrival, 2016) image 김동렬 2017-02-07 14706
3727 인생은 운명인가 자유의지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05 15894
3726 호르몬의 전략과 선택 image 1 김동렬 2017-02-04 14744
3725 생각에 옷을 입혀라 image 김동렬 2017-02-03 13842
3724 진실에 도전하라 image 김동렬 2017-02-02 13917
3723 한국말을 배웁시다 image 10 김동렬 2017-02-01 15319
3722 구조론에 도전해보자. image 1 김동렬 2017-01-29 15022
3721 왼손잡이는 왜 멸종하지 않았는가? image 김동렬 2017-01-27 15206
3720 느낌 속에서 답을 찾아라. image 김동렬 2017-01-26 15335
3719 같음과 다름 image 1 김동렬 2017-01-25 13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