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오세
read 3348 vote 0 2014.03.20 (02:31:19)

오프닝


"과학에서의 발견과 발명이 시대의 큰 변화를 낳고, 큰 변화가 큰 사건을 낳고, 큰 사건이 큰 철학을 낳는다. 20세기는 진보도 성큼성큼 큰 걸음이었고, 사건도 난리 터지는 대사건이었고 철학자도 큰 목청을 가졌었다.


    지금은 다들 소심해져서 아기나 얼르며 울룰루까꿍 한다. 심지어 그걸 철학이라고 한다. 그렇다! 철학이 죽은 시대를 우리는 산다. 슬프다! 누가 큰 목소리로 말해줘야 한다.


    ‘그건 철학이 아냐. 그건 너희 시대의 실패를 반영하는 슬픈 자화상에 지나지 않아. 현실이 망가졌다고 넋마저 빼놓고 다니진 말아.’ 이런 일갈이 필요하다. 가능한가? 가능하다. 새로운 철학의 자원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바야흐로 스마트 시대다. 계절이 바뀌면 일기예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시대가 바뀌면 누군가는 새로운 진보의 방향을 말해줘야 한다."


1. 시사구조론

-중력파 발견!

http://gujoron.com/xe/450499


2. 아는 사람

-성철 스님

"숭산의 법문에서 눈여겨 볼 점은 숭산과 성철이 퇴계와 율곡처럼 화해할 수 없는 지점에 와 있다는 점이다. 그 패턴은 같다. 성철이 일원론이면 숭산은 이원론에 가깝다. 그런데 불교는 원래 일원론이다.

 

    반야심경은 색과 공의 이원을 인연 일원으로 통합하고 있다. 공이 인연을 통과하면 색이 되고, 색이 인연을 통과하면 공이 된다. 실상 인연 하나가 있을 뿐 공도 없고 색도 없다. 불교는 인연일원론이다.

 

    불교의 본의는 대자비를 행하여 중생을 구하는 데 있다. 십우도 마지막 장면은 다시 시장에 손을 담그는 입전수수다. 그런데 성철은 산중에 머물렀을 뿐, 시장에 손을 담그지 않았으니, 제대로 된게 아니라는 것이 숭산의 입장이다.

 

    과연 성철은 대자비를 행하지 않았고 거리에서 중생을 구제하지도 않았다. 성철은 대중이라는 큰 종을 쳐서 천지를 뒤흔드는 큰 소리가 나게 했을 뿐, 대중이 요량껏 제 소리를 내는 것은 대중들의 각자 알아서 할 몫으로 남겨두었다.

 

    문제는 숭산의 입장이 본인의 입에서 나오는 ‘평상심이 도’라든가 ‘완전한 자유’라든가 ‘이 세계는 이미 완전하다’든가 ‘생각이 없으면 부처’라든가 하는 불교계의 전통적인 가르침과 모순된다는 점이다.

 

    이미 완전한데 무슨 대보살행이 필요하고, 또 올바른 실천이 필요하고, 더하여 잡다한 기능이 필요하고, 유익한 실용이 필요하고, 이렇게 해야 한다는둥 저렇게 해야한다는둥 하는 세세한 규칙들이 필요하겠는가?

 

    ◎ 맞는 말 – 평상심, 완전한 자유, 완전하다, 생각이 없으면 부처.
    ◎ 허튼소리 – 올바른 실천, 기능, 실용, 대보살행, 이래라 저래라.

 

    한 입으로 두 말을 하고 있다. 결론은 수도승들이 포교승을 우습게 보기 때문에 포교승들이 수도승을 욕하는 것이다. ‘흥! 니가 그렇게 잘났냐?’ 이런거. 질투다. 그런데 내가 보기에는 숭산이 좀 노방전도사 같다.

 

    그렇다면 왜 성철은 포교를 하지 않았을까? 기승전결의 ‘기’에 서면 그 뿐 이어지는 승전결은 구태여 필요하지 않다. 스트라디바리가 있으면 결국 누군가가 연주한다. 내가 성철을 만났고, 지금 성철을 이렇게 연주하고 있다.

 

    종이 있으면 누군가 치는 건데, 숭산은 골목을 다니며 대중이 혹시 종소리를 못들었을까 걱정하여 옃장수 엿가위 두드리듯 하며 소음을 내고 있다. 결론은 숭산이 상부구조를 보지 못했다는 거.

 

    신이, 진리가, 자연이, 인연이, 부처가, 역사가 성철이라는 악기를 연주한다는 사실을 그는 알아채지 못했다. 숭산이 거리의 사람들을 만나고 있을 때 성철은 신을, 진리를, 자연을, 역사를, 인연을 만나고 있었다. 연주하고 있었다.

 

    깨달음은 큰 만남이다. 스트라디바리가 명연주자를 만나는 것이다. 큰 만남이 큰 소리를 낸다. 그 뿐이다. 그것으로 이미 완성되었다. 더 필요하지 않다. 조바심 내지 않아도 만날 것은 결국 만나게 된다.

 

    만나는 즉 깨달은 것이다. ‘쌤요. 그래서 뽀뽀했능기요?’ 만나서 뽀뽀했냐고 쌤한테 자꾸 물어보는 학생은 0점 처리다. 비오는 날 체육수업 빵꾸날 때 들려주는 쌤의 연애담은 거기까지. 원래 그런 거다.

 

    사람들이 색즉시공은 좋아하는데 색과 공 사이의 인연은 모른다. 공은 도로와 같고 색은 자동차와 같은데, 차가 있어도 달릴 수 없고, 도로가 있어도 달릴 수 없다. 인연이라는 운전사가 있어야 비로소 달릴 수 있다.

 

    인연은 1이고 공과 색은 2다. 공과 색을 논하면 이미 분별된 것이다. 프리즘과 같다. 빛이 인연이라는 프리즘을 통과하면 색이 되고, 색이 다시 인연이라는 프리즘을 통과하면 공으로 되돌아간다.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 이 말은 완전성을 나타낸다. 실상은 산과 물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산수가 있는 것이다. 하나의 산수가 어떤 사람에게는 산을 주고 어떤 사람에게는 물을 준다. 각자 필요한 만큼 챙겨간다.

 

    “원각(圓覺)이 보조(普照)하니 적(寂)과 멸(滅)이 둘이 아니라 보이는 만물은 관음(觀音)이요 들리는 소리는 묘음(妙音)이라 보고 듣는 이 밖에 진리가 따로 없으니 시회대중(時會大衆)은 알겠는가?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

 

    이게 원문인데 맨 뒤에 ‘중은 중이고 대중은 대중이다.’라는 말이 생략되어 있다. 이 말이 일원론을 의미한다는 것은 누구나 알 수 있다. ‘적과 멸이 둘이 아니다’고 분명하게 적시되어 있다. 우주 전체가 하나의 통짜 덩어리 진리를 이루고 있으니 따로 분리해낼 수 없다는 말이다.

 

    이 말이 나온 이유는 조계종에서 성철을 종정취임식에 부르려 했기 때문이다. 그 이면에 전두환과의 만남이 예비되어 있었음은 물론이다. 결론은 세상이 다 하나의 통짜덩어리인데 왜 내가 구차하게 산을 내려가서 전두환을 만나야 하느냐 이거다.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고, 중은 중이고, 대중은 대중이며 이들이 각기 따로 떼어져 있는것처럼 보이지만 한 번 원각이 보조하면 모두 하나로 어우러져 관음과 묘음을 이루고 있으니 스스로 완전한데 구태여 만나줄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필자는 깨달음이 만남이라고 말했다. 그런데 왜 성철은 전두환을 만나지 않고 이런 긴 변명을 했을까? 그것까지는 이야기 안 해도 될 거고.

 

    만난다고 만나는게 아니다. 보아도 백안시다. 청안시라도 마음의 눈은 감고 있다. 스트라디바리를 옃장수에게 주지는 않는다. 섣불리 만나지 않는 것이 오지게 만나는 것이다. 변을 만나면 심을 만나지 못한다.

 

    나는 성철을 만나지 않았으나 이미 성철을 만났다. 백련암을 찾아가서 삼천배를 하고 성철을 만난 사람 중에 성철을 만난 사람은 없다. 그들은 스트라디바리를 연주하지 않았다. 근처에 얼쩡거렸을 뿐이다."


3. 특집: 창의하는 방법을 알려주마!

-신간소개


4. 영어는 한국어다  -ABCDEFG, 처음부터 다시 배워라!

언어는 최초 입술로 대상을 가리키는 데서 출발했다.

그러므로 첫째 전치사 위주로 나타나는 방향이 중요하고 

둘째 혀로 모방되는 동사가 중요하다.

명사는 그 다음이다.


a 턱으로 존재를 가리킴

b 입술로 사건을 가리킴

c 목구멍으로 강함을 나타냄

d 혀로 입천장을 쳐서 충돌을 나타냄

e 턱으로 사물을 가리킴

f b를 강조함

g c와 같거나 약한 성질을 나타냄

h C가 약하게 변함

i 턱으로 가리킴

j D가 약해짐

k C와 같거나 강조함

ㅣ혀를 내밀어 아래로 내려가는 동작을 나타냄

m 입술을 물어 강하고 무른 힘을 나타냄

n 혀로 입천장을 뚫어 천장을 뚫고 나오는 것을 나타냄

o 입술을 오므려 가리킴.

p B>F>P 순으로 강화됨

q 목구멍에 걸려 고개를 갸웃하여 궁금한 것을 나타냄

r 혀를 들어 위로 올라가는 동작을 나타냄

s 이 사이로 바람을 침투시켜 침투를 나타냄

t D를 강조함

u 입술로 상대를 가리킴

V 입술을 뻗어 직선으로 뻗는 것을 나타냄

W CHG가 약해짐

X 목구멍에 걸려 엮인 것을 나타냄

y 턱으로 가리킴

z J와 같음 


프로필 이미지 [레벨:28]오리

2014.03.22 (14:51:12)

오세님 동렬님 책중에 좀 쉬운 걸로 오디오 북좀 만들어 줘봐요.

생각의 정석 시작할 때 나레이션 하듯이 말이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134864
786 디자인과 몽구스 image 2 김동렬 2014-04-04 4470
785 구조는 같다. image 20 김동렬 2014-04-03 6537
784 구조론 문제 22 김동렬 2014-04-02 3662
783 교육에 대한 환상 2 김동렬 2014-04-01 3571
782 북유럽 모델의 환상 4 김동렬 2014-04-01 4220
781 구조론의 이해 4 김동렬 2014-03-31 3186
780 왜 한국에 광신도가 많은가 1 눈내리는 마을 2014-03-31 3175
779 위험한 한국 image 7 김동렬 2014-03-30 4226
778 노동 곧 자본 1 담 |/_ 2014-03-28 3062
777 구조론이 옳다는 과학적 증거 4 김동렬 2014-03-27 3427
776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순서 파란하늘 2014-03-26 3256
775 노동도 자본도 휴지다 5 담 |/_ 2014-03-26 3088
774 진짜 전쟁 담 |/_ 2014-03-25 3124
773 구조론 생각의 정석 31회 오세 2014-03-25 2992
772 노아, 보셨습니까? 7 김동렬 2014-03-25 3511
771 이상적인 친구의 숫자는? 7 파란하늘 2014-03-25 3673
770 아침풍경 image 김동렬 2014-03-25 3158
769 인간은 폭력적인가? 6 김동렬 2014-03-24 4315
768 역사의 코끼리 image 차우 2014-03-23 3150
767 오자서의 정답 image 1 김동렬 2014-03-23 3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