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힌계에 대해서 ‘물 한 컵 더하기 한 컵은 큰 컵으로 한 컵이잖아요.’ 이런 초딩 개소리 하면 바로 짤린다. 사과 1개 더하기 1개는 과연 두개일까? 저울로 재보면 110그람과 97그램인데 어떻게 딱 200그램이 되냐고? 아니 누가 무게 재자고 했나? 수학은 원래 추상이고 관념이고 해석이다. 사건을 재는 것이다. 사과 1개가 아니고 사건 1회다. 거기서 사과가 왜 나오냐? 수학은 수학일 뿐 자연의 사과나 복숭아와 상관없다. 닫힌계는 자연에 없다는둥 하며 물리학 지식 동원하면 안 된다. 구조론에서는 구조론 용어를 써야 한다. 닫힌계라는 표현은 물리학 용어를 빌려 쓰는 것이며 그거 시비하는 자에게는 구조론을 가르쳐주지 않는다. 짜른다. 구조론은 사건을 추적하는 것이며 사건은 에너지의 방향을 바꾸는 것이다. 방향이 확산에서 수렴으로 바뀌면 사건이 촉발되며 방향이 바뀌었으므로 닫힌계다. 추가적인 에너지 진입은 없다. 왜? 닫혔기 때문이다. 방향이 바뀐 거다. 방향이 바뀌면 회로가 끊어지고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다. 실제로 자연의 현실에서 완전한 닫힌계는 없다. 우주 전체가 완전히 닫힌 하나의 고립계일지는 물리학자들에게 물어봐야 하는 것이다. 닫힌계가 에너지 드나듦을 부정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사건 안에서는 완전히 닫힌다. 투표를 한다고 치자. 지지정당을 찍어야 한다. 근데 손이 떨려서 엉뚱한데 찍는 수전증 환자가 있다. 에너지가 추가로 들어온 것이다. 의사결정에너지는 정당에 대한 지지여부인데 엉뚱한 에너지가 방해를 했다. 닫힌계가 아니라 열린계다. 이건 수학에서 논외다. 주사위를 던졌는데 주사위가 깨져서 눈금의 합이 7인데요? 이런 개소리 하는 넘은 오백만 방을 맞아야 한다. 장난하냐? 그건 미리 약속된 사건이 아니다. 이런 개소리 하는 자는 국어공부가 안 된 거다. 언어는 약속인데 약속을 깬다. 사과 1개 더하기 1개는 두 개가 될 수 없는게 벌레먹은 사과걸랑요? 애먹일라고 요런 소리 하는 넘은 매우 처맞는 거다. 언어는 약속이고 약속을 깨면 배반이다. 배반자는 퇴출이다. |
이는 실제로 벌어지는 현상이지만 눈으로 관측하기가 어려우니 추상의 영역이라는 것. 머릿속에 그림이 그려져야 하며, 에너지밀도를 감각해야만 알 수 있는 것. 그러니 직관을 활용할 줄 알아야 함.
지구도 닫힌계가 적용이 되고 있으니, 지구 내부 에너지 밀도가 유지되고 있는 것. 또한 외부로 열려 있으니 태양에 영향받고 달과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것. 우주안에서의 관계가 더 있을 것이나 그 부분은 과학이 밝힐 것이므로 패스.
어떤 모임을 해도 닫힌계는 형성됨. 그 모임안에 에너지 밀도가 있으니까 그 에너지밀도가 보호막(차단막)을 형성함. 그 안에 에너지룰에 따라감. 시끄럽고 넓은 호프집이라도 닫힌계는 형성됨. 내가 앉아 있는 테이블과 옆 테이블은 다른 에너지밀도로 구별됨.
닫힌계를 감각하는 훈련은 가두면 됨. 즉 외부 출입문을 닫아걸면 각 사람들 에너지가 분출되어 그 공간안에 밀도가 올라감. 그리 몇시간 동안 같이 있어보면 그 공간안에 에너지 질이 감지됨. 그러니까 모여있는 사람들 에너지 질일 알 수 있음. 각기 다른 에너지를 질 높은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은 룰임. 실생활에서는 예가 필요해짐. 룰대로 가는 방향을 조직하면 에너지를 사용해서 일을 할 수 있음. 그러면 각각의 흩어진 에너지가 모아져 질이 높아짐. 즉 에너지 상태가 균일해지는 것임. 에너지가 균일해지면 복제가 됨. 복제가 되면 계속 써먹게 됨. 그러다가 또 에너지가 흩어지겠지만, 훈련됨은 남으니 질적인 상태는 보존된다고 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