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신웅
read 541 vote 0 2025.03.28 (01:40:05)

얼마 전에 노무현 같은 정치인을 다시 만나고 싶다는 글을 썼었다. 그런데 요즘 이재명 대표에게서 힘을 느낀다. 그는 아무리 죽이려 해도 살아남는 정치인이다.
 
노무현 대통령의 파워는 유불리를 따지지 않고, 목소리를 낸 것에 있을 것이다. 그의 이런 일관성이 노무현 캐릭터를 만들었다. 이게 사람들에게 먹히는 것 같다.
 
이런 태도가 이재명에게 조금만 만들어진다면, 노무현 급으로 올라설 거라는 기대가 든다. 즉 사람들의 마음에 무찔러 들어가고, 감정이입이 제대로 되는 것이다.
 
이재명은 대통령이 되기도 전에 보수로부터 탈탈 털렸다. 그런데도 무너지지 않고, 때리면 때릴수록 더욱 살아난다. 이것은 완전히 노무현에게서 보던 그림이다.
 
난 노무현 대통령은 돌아가시고 난 후 그의 일생을 알게 되었다. 그처럼 내 마음을 울린 정치인은 없었다. 그런데 이제 이재명 대표에게서 그런 에너지를 느낀다.
 
이재명을 지원 사격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나도 그 중 한 명이 되려 한다. 그의 정치가 한국을 선진화시킬 것이다. 멋지고 아름다운 한국을 만들어가 보자.


프로필 이미지 [레벨:1]신웅

2025.03.28 (01:40:26)

이재명은 강한 태도를 보여라
 
심심해서 김어준 총수의 <닥치고 정치> 앞부분을 조금 봤다. 김어준은 조국을 지원 사격하고 싶었던 것이다. 난 조또 아닌데, 이재명 맞춤 지원을 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과 같은 시국에, 이재명이 살해 위협으로 피하는 이미지를 보인다. 난 이래서는 안 된다고 본다. 그 다음 플랜을 생각해 보자는 것이다.
 
이재명은 지금부터 강한 캐릭터라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 살해 위협에도 굴하지 않는다는 모습을 보이면 좋다. 물론 경호는 철저히 받자.
 
아무튼 <닥치고 정치>에서 가장 인상 깊게 읽은 부분이 노무현의 애티튜트였다. 그는 유불리를 따지지 않고 행동했다. 이것이 사람들에게 먹힌다.
 
그러므로 이재명 또한, 그런 인상을 보여야 한다. 실제로 지금까지는 잘 행동해 왔다. 그런데 탄핵 표결 앞두고, 약간 허약한 이미지를 노출하고 있다.
 
이재명 대표는 경호를 받으면서도, 강한 목소리를 계속 내야 한다. 이것이 노무현과 같은 캐릭터를 만들어 준다. 적어도 난 그렇게 생각한다. (250316 작성)
[레벨:8]펄잼

2025.03.28 (10:39:14)

극우를 상대하는것과 애초에 인간적인 흠결도 껴안고가고있다는 차이가 있는거 같네요.노통땐 적어도 

대놓고 이런 노골적인환경은 아니었던거 같은데..

프로필 이미지 [레벨:1]신웅

2025.03.28 (15:36:31)

네 맞는 말씀 같기도 합니다.

노무현 대통령 때는 조중동을 위시한 보수 언론이 괴롭혔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기득권들이 대놓고 아주 노무현 대통령을 무시하고, 야단도 아니었던 것 같아요.

저는 시대에 따른 차이지, 그때나 지금이나 거의 비슷하다고 봅니다.

2010년 대부터 정치 글을 읽어 그 전 일은 잘 모르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154154
2299 마누스는 별 거 없다 new chow 2025-03-30 127
2298 프로그래밍의 본질 update 9 chow 2025-03-30 272
2297 상대성 이론의 철학적 의미 3 추론이 철학이다 2025-03-29 203
» 이재명에게서 힘이 느껴진다 3 신웅 2025-03-28 541
2295 [질문]지능의 환원 구조 2 추론이 철학이다 2025-03-28 163
2294 양자역학의 오해 1 추론이 철학이다 2025-03-27 253
2293 코끼리의 쇠사슬 image 7 신웅 2025-03-26 322
2292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2 오리 2025-03-26 144
2291 IQ에 대한 오해 image 3 추론이 철학이다 2025-03-26 306
2290 구조론 사이트 검색 기능 개선 image 9 오리 2025-03-26 348
2289 심리치료는 마이너스다 11 신웅 2025-03-23 526
2288 이이윤윤방방민민 chow 2025-03-22 330
2287 글쓰기는 주제 싸움이다 14 신웅 2025-03-20 561
2286 배려 소통 공감은 잡다한 나열에 불과하다 2 이상우 2025-03-20 412
2285 칼럼 쓰는 방법 11 김동렬 2025-03-20 623
2284 이강인이 되는 이유 3 - 천재성 11 신웅 2025-03-20 547
2283 글쓰기는 나를 드러내는 방법 11 신웅 2025-03-20 403
2282 빈곤지능의 문제 (AGI는 언제) chow 2025-03-18 325
2281 마누스의 정체와 AI 업계 상황 image 1 chow 2025-03-17 441
2280 구조론은 잘하는 것입니까? image 8 신웅 2025-03-17 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