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5]천분의일
read 457 vote 0 2022.06.25 (09:41:01)

Chapter1: The harmful effect of cramming education

 

주입식 교육의 폐해는 뭐든 주입식 교육 때문이라고 변명하는 기술이 주입된 것이다. 주입식 교육이 문제가 아니라 주입식 사회가 문제다. 자기 머리 나쁜 것은 인정하지 않고 '. 내가 하버드에서 두각을 드러내지 못하는 이유는 주입식 교육 때문이지.' 하고 개소리를 시전한다. 교육은 원래 주입이다. 다른 교육은 없다. 문제는 인성교육이 안된 것이고 주입식으로 사람을 뽑는 관료주의와 권위주의다. 자신은 경쟁하지 않고 애꿎은 학생을 경쟁시키는 비열함 말이다. 교수들이 경쟁해야 한다.

The downside of cramming education is that you make excuses that 'the problem is because of cramming education'. The problem is not cramming education, but cramming society. He doesn't admit to his bad brain and says nonsense, "Yes, I'm not standing out at Harvard because I got an cramming education." Originally all education is indoctrinated. There is no education without indoctrinating into the brain. The problem is the lack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 bureaucracy and authoritarianism of selecting people by indoctrination. Look at the professors in Korea. They don't compete at all, but they drive students into competition.

 

성적 좋은 애를 뽑는다는 발상 자체가 틀렸다. 시험은 부적격자를 걸러내는 수단이지 적격자를 찾는 기술이 아니다. 토론식 수업 한다고 성적 올라간다는건 넌센스다. 프랑스가 철학을 가르치고 바깔로레아를 해서 나아진게 뭐냐? 프랑스에서 인재가 쏟아지냐? 한류 뺨 치는 프류가 뜨냐? 뻘짓이다. 하라는 주입은 안 하고 시간 때우기 토론이나 하다가 망한다. 토론이 필요없는 것은 아니다. 토론하다가 아이디어를 공유하게 된다. 토론해서 교육이 되는게 아니고 토론 중에 남의 아이디어를 훔치는 것이다.

The idea of selecting a person with good grades itself is wrong. Tests are a means of filtering out unqualified people, not for finding qualified people. And it's just nonsense to get a higher grade with debate class. What has been improved in France by learning philosophy and testing baccalaurean? Why isn't there a lot of talent in France? Do they have 'France Wave' comparable to 'Korean Wave'? That's just a waste of time. It fails to have a debate that wastes time without necessarily indoctrinating it. Of course a debate is also needed in a way. Students could share ideas through debate. But it's not education, it's stealing other people's ideas during the debate.

 

일본만화가들의 양산박이라 불리웠던 토키와 장이 유명하다. 데즈카 오사무를 비롯한 유명한 만화가들이 같은 건물에서 생활하며 서로의 아이디어를 훔쳤다. 한국은 바둑의 충암사단이 유명하다. 유창혁, 이창호를 비롯하여 100명이 넘는 프로기사가 나왔다. 일본 바둑 지망생들이 유명 프로기사의 내제자로 들어가서 혼자 연구하는 점과 비교하면 압도적이다. 한국의 웹툰작가들도 한때는 모여서 생활하며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훈훈한 분위기가 있었는데 지금은 산통이 깨진듯 하다.

The famous 'Tokiwa Jang' was called '*Mount Liang' of Japanese cartoonists. Famous cartoonists, including Tezuka Osamu, lived in the same building and stole each other's ideas. '*Chungam division' of Baduk is famous in Korea. More than 100 professional players, including Yoo Chang-hyuk and Lee Chang-ho, came out there. In Japan, an aspirant to Baduk enters a master's house and learns alone. This makes an overwhelming difference in performance compared to group study in Korea. Korean webtoon writers once lived together and shared ideas, but now they seem to be scattered.

*Mount Liang: The main background of 'Water Margin' where the 108 heroes lived.

*Chungam division: A study group of board game Baduk players in Korea.

 

주입식 선발이 문제다. 아랫사람을 줄 세워서 편하게 해먹으려는 공무원 마인드다. 성적으로 사람을 뽑으니 변희재나 윤석열 같은 괴물이 나온다. 천재 놔두고 둔재 뽑는게 관료주의 전시행정이다. 왜 쟤를 뽑았냐? 너 뇌물 먹었냐? 혹시 친인척이냐? 이런 의혹을 잠재우고 공정성을 가장하려면? 서울대 출신을 성적순으로 뽑으면 뒷말이 없다. 뽑기 편한대로 뽑으므로 스펙 따지고, 학벌 따지고, 성적 따지는 거다.

The problem is not cramming education, but cramming selection. It is like a civil servant who tries to work comfortably by ranking people. When people are selected based on their grades, abnormality like Byun Hee-jae and Yoon Seok-yeol come out. It is window dressing of bureaucracy to select dull-witted person instead of genius. "Why did you hire him? Did you take a bribe? Are you a relative?" There is no controversy if a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is selected in the order of grades in order to avoid such suspicions and pretend fairness. They choose comfortably in the order of qualifications, academic background, and grades.

 

문제는 초졸이 중졸 뽑고, 중졸이 고졸 뽑고, 고졸이 대졸 뽑는 하극상 구조다. 정주영은 초졸이다. 초졸 안목으로 사람 뽑으려면? 스펙 밖에 볼게 없다. 뽑는 사람의 실력이 중요하다. 스승이 제자를 뽑아야 하는데 제자가 스승을 뽑는 격이라 구조적으로 망해 있다. 컴맹인 부장님이 컴도사 직원을 뽑는다는게 망한 것이다.

The problem is the system of mutiny. Elementary school graduates select middle school graduates, middle school graduates select high school graduates, and high school graduates select college graduates. Jung Ju-young is an elementary school graduate. What if he tries to select employee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elementary school graduates? There are only visible qualifications. The ability of the interview is important. Although a teacher has to select students, but if a student selects teachers, then it is structurally already ruined. It is a failure that a computer illiterate hires computer experts.

 

진짜 인재? 인재는 현장의 경쟁에서 나오지 시험에서 안 나온다. 교수가 경쟁되어야 하는데 교수는 죽을때까지 해먹는 철밥통 이라서 경쟁이 없다. 교수가 자기 살려고 천재 제자를 끌어모아서 아이디어를 빼앗아야 실적이 나온다. 현실은 둔재가 암기력으로 명문대 가서 꼴아박고 주입식 교육을 탓한다. 한국에서 노벨상이 안 나오는건 자원이 둔재이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시스템이 없기 때문이지 다른 이유가 없다. 과기고 가서 의대 진학하고 민사고 가서 해외유학 가는게 현실이다.

Real talent comes from competition in the field, not through tests. There is no competition for Korean professors because they are comfortably guaranteed lifetime employment without competition. And they gather genius students and steal their ideas and seek their selfish interests. The reality is that a dull-witted person goes to a prestigious university with only memorizing knowledge and blames cramming education for maladjustment. The reason why the Nobel Prize does not come out in Korea is because only dull-witted persons get together and there is no system to share ideas. There is no other reason. Most of students who think they're smart aim to go to medical college after Science Technology High School, or go to study abroad after Korean Minjok Leadership Academy.

 

나는 아홉살 무렵부터 아이디어를 수집했고 본격적으로 파고든 것은 열 여섯 때였다. 아인슈타인은 열여섯에 상대성이론을 착상했다고 한다. 내쉬는 졸업하기 전에 세상을 바꿀 연구주제를 정해야 한다고 초조해 하는 그림이 영화에 나온다. 석사 하고 박사 하면서 뒤늦게 연구나 해 볼까 하는 자는 희망이 없다. 3이 되었다면 늦다. 과기대나 민사고나 쓸모가 없다. 16살이면 노벨상 받을 연구를 해야 하는데 그 시간에 명문대 가려고 시험공부나 하고 있으니 되겠냐?

I have been collecting ideas since I was about nine years old, and I started research in earnest when I was sixteen. Einstein is said to have conceived the theory of relativity at the age of sixteen. John Nash worries whether he can't find a subject of research to change the world, as shown in the movie. There is no hope for those who are starting to think of a subject of research while preparing for their doctorate after passing the master's degree. It will be too late if they become high school seniors. It is useless whether it is 'Science Technology High School' or 'Korean Minjok Leadership Academy'. If you are 16 years old, you have to study for the Nobel Prize, but will it be okay to study for the exam to go to a prestigious university at that time?

 

조선시대에도 과거제도에 문제가 있다고 천거제를 만들었는데 그건 더 망했다. 각자 자기 부하를 추천한 것이다. 과거시험에 붙은 사람은 소신있게 일한다. 장원급제라는 명성이 힘을 주기 때문이다. 천거된 사람은 철저히 자신을 추천해준 보스에게 충성한다. 고시를 폐지해야 하는 이유다. 고시는 기수대로 사람을 줄 세운다. 검사가 세력이 없이 고립되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에도 천거된 사람은 성균관 출신의 동문이 없어서 고립된 결과로 각개격파 되었다.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recommendation system was enforced to solve the problems of 'imperial examination', but it failed even more. Because everyone recommended their subordinates. Those who pass the state examination work with conviction. It is because the reputation of winning the first in the exam gives pride. The recommended person is only loyal to the boss who recommended him. This is why the bar exam should be abolished. They line up prosecutors according to the order of , so as not to be isolated without power. Even in the Joseon Dynasty, the person recommended had no influence, so it was difficult to succeed as a result of isolation.

 

주입식 교육은 절반의 성공이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시스템에서 진짜가 나온다. 인재는 세력에서 나온다. 만화가들은 친목질 하며 아이디어를 훔쳐야 한다. 일정부분 표절이 허용되는 인재의 자궁이 있어야 한다. 80년대 미국의 래퍼들은 그냥 해먹었다. 저작권 개념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흥한 것이다. 엘비스 프레슬리만 해도 흑인음악을 훔쳤다고 욕을 먹고 있다. 서태지만 욕할게 아니고 당시에 다들 그렇게 했다. 저작권 보호가 엄격해지면서 총체적으로 망하고 있는게 사실이다.

Cramming education is only half a success, and the rest comes from a system that shares ideas. Talent comes from influence. Cartoonists must steal other people's ideas under the guise of friendship. There should be a uterus for talented people to allow plagiarism to some extent. All American rappers in the 80s plagiarized. Because there was no concept of copyright. So the music was a big hit at that time. Elvis Presley was also accused of stealing Black Music. Not only Seo Tae-ji but everyone did so at the time. On the contrary, as copyright protection becomes stricter, related industries are stagnating.


교수가 천재들을 끌어모아 서로 아이디어를 공유하게 해야 노벨상이 나온다. 내각도 마찬가지다. 적재적소에 가려서 뽑고 탕평책으로 인재 뽑으면 망한다. 그렇게 뽑힌 장관들은 서로 총질한다. 인간의 영역본능 때문이다. 홍남기, 윤석열, 최재형이 대표적인 탕평인사의 실패작이다. 대통령이 믿을만한 자기사람을 내각에 심어야 한다. 대통령에게 사람을 알아보는 눈이 없으면? 영삼된다. 인사가 망사된 거다. 장관이 정보를 차단하고 서로 암투를 벌이므로 이를 중재한다며 문고리가 등장하고 장관을 못 믿으니 차관정치가 등장한다. 대통령이 믿을만한 사람이라면 어느 부서에 무슨 장관을 하든 상관없다. 이공계 출신은 그 쪽으로 가고 인문계 출신은 이쪽으로 오고 군 출신은 국방부를 맡고. 이런게 머저리 짓이다. 그 분야에 대한 해박한 지식은 오히려 방해가 된다. 공무원을 장악하고 쥐어짜는 능력이 중요하다.

Let the professor gather the geniuses and share ideas with each other. They will win the Nobel Prize. The same goes for the Cabinet. If you select and place talents in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with a *Tangpyeong policy, the organization will be ruined. The elected ministers fight like an enemy. It is because of human's territorial instinct. Hong Nam-ki, Yoon Seok-yeol, and Choi Jae-hyung are the failures of Tangpyeong personnel. The president should plant a trustworthy man in his cabinet. If the president doesn't have the ability to recognize talents, the state becomes a mess. Personnel becomes a mess. Since the ministers are fighting each other in the secret room, doorknobs appear to mediate it, and vice minister politics appears because they do not believe in the minister. As long as the president is trustworthy, there is no problem which department he serves as a minister. It is foolish to think that students should work at a department suitable for their major. Professional and profound knowledge of a field does not help the work. You just have to take control of the public officials and squeeze them.

 

롯데 허문회가 왜 망가졌을까? 부산 친구들이 집요하게 전화를 넣어서 망한 것이다. 래리 서튼은 외국인이라서 전화를 하는 사람이 없으니 흥한다. 그 바닥을 잘 알면 망한다. 전문가는 전문적으로 망한다. 유럽은 35살 총리가 나온다. 새파랗게 젊은 넘이 뭘 알겠냐? 모르니까 용감하다. 총리가 젊으면 장관도 젊다. 이들은 나이가 어려서 아는게 없으므로 적재적소가 아니다. 젊은 장관은 대통령에 출마할 욕심이 없으므로 시키는 일을 한다. 인간들이 말을 잘 들어야 한다. 그런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The failure of Heo-munhoe, baseball manager, is due to persistent contact from Busan friends. Larry Sutton, who came to replace him, is a foreigner and doesn’t have a friend, so no one calls, so things are going well. Heo Mun-hoe failed because he knew the Busan area too well. Experts fail professionally. In Europe, a 35-year-old prime minister is elected. What would a young man like a baby know? He is brave because he does know nothing. And if the prime minister is young, the minister will be young. So he appoints people in the wrong place because he doesn't know anything. And the young minister has no desire to run for president, he works hard without complaint. You have to create such a structure that can make people obey.

 

징기스칸 따라다닌 사준사구는 그냥 동생에 자식에 하인에 노예였다. 집에서 키우는 종놈이 제일 싸움을 잘한다. 징기스칸도 처음에는 적재적소를 추구했다. 부족마다 대표자를 뽑아서 전쟁을 했다. 자무카에게 참패해서 죽음의 문턱까지 갔다. 그게 18 쿠리엥 전투다. 18 부족의 대표자를 모아 탕평책으로 전쟁해서 대멸망. 결국 동생과 하인만 믿을 수 있다는 진실을 깨닫고 부족을 폐지하여 대성공. 전쟁은 원래 그렇게 한다. 뭐 좀 아는 놈들은 죽어보자고 말 안 듣는다. 말을 듣게 만들어야 한다.

Genghis Khan also sought to appoint the right person in right position at first. He went to war after selecting representatives from each tribe as a Tangpyeong policy. However, he was defeated by Jamuka in the Battle of 18 Kurien and reached the threshold of death. Eventually, realizing the truth that only his brother and servant could be trusted, he abolished the tribes and succeeded. Sajunsagu, Genghis Khan's subordinate, was originally brothers, children, servants, and slaves. And the servant raised at home is the best at fighting. That's the right way to wage a war. Experts are bound by expertise and won't listen to others. It is most important to make a structure that makes peoples listen.

 


[레벨:10]dksnow

2022.06.25 (13:59:37)
*.133.243.229

생각하게 만드는 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3 구조론칼럼6장: 경쟁의 형태 천분의일 2022-07-10 492
152 구조론 칼럼 5장: 한나아렌트의 게임 천분의일 2022-07-05 404
151 구조론 칼럼 4장: 권력의 진화 천분의일 2022-07-05 246
150 구조론 칼럼 3장: 정신병의 원인 천분의일 2022-07-01 441
149 구조론 칼럼 2장: 이념은 없다 천분의일 2022-06-28 359
148 관점과 관념 9장 세상은 마이너스다 dksnow 2022-06-26 296
» 구조론 칼럼 1장: 주입식 교육의 폐해 1 천분의일 2022-06-25 457
146 진화의 전략 8장: 유전자의 입장 천분의일 2022-06-23 251
145 진화의 전략 7장: 상호작용설 천분의일 2022-06-21 312
144 진화의 전략 6장: 주체의 선택 천분의일 2022-06-19 284
143 관점과 관념 8장 우주의 제 1 지식 dksnow 2022-06-17 259
142 진화의 전략 5장: 진화와 진보 천분의일 2022-06-16 264
141 진화의 전략 4장: 자연의 조절장치 천분의일 2022-06-14 271
140 관점과 관념 7장 소크라테스의 논박 1 dksnow 2022-06-11 343
139 진화의 전략 3장: 성선택설의 오류 천분의일 2022-06-10 269
138 진화의전략 2장: 방향과 기세 천분의일 2022-06-07 286
137 관점과 관념 6장 변화의 추적 dksnow 2022-06-06 281
136 진화의 전략1장: 유체와 강체 천분의일 2022-06-05 280
135 강자의 전략8장: 전쟁기계 천분의일 2022-06-05 236
134 강자의 전략 7장 : 원칙과 변칙 천분의일 2022-05-31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