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이금재.
read 1579 vote 0 2021.11.30 (02:57:15)

"나는사랑해... 너를."

 

전형적인 영어식 발화 방법이다영어가 명사중심언어라고 불리는 데는 이유가 있다영어를 만든 사람이 명사중심언어라고 완벽한 설계를 하고 그렇게 만든게 아니다결과적으로 명사중심언어가 된 것이다. 대신 어순이 그것을 명사중심언어로 만들었다주동목 말이다목적어가 가장 뒤에 있으며 목적어가 명사다반면 주목동인 한국어는?

 

"나는너를... 사랑한다" 주목동인 한국어의 어순이다동사가 가장 뒤에 위치하는 동사중심언어다언어는 가장 뒤에 위치하는 게 화자의 관심사가 된다이는 언어가 추론과정을 표현한 것이기 때문이다추론은 둘로 하나를 가리키는 것이다그리고 내가 추론한 걸 너에게 복제하는 게 언어다주어와 목적어로 동사를 추론하는 게 한국어다한국어는 동사가 가장 뒤에 있으므로 동사의 표현에 집중한다동사를 잘 말해야 화자의 의도가 잘 전달되는 구조인 것이다그래서 한국어는 서술어가 유난히 발달한다우리라는 표현이 영어와 다른 것도 이 때문이고.

 

한국인이라면 "I study English" 라고 말할 것이다반면 영어인은 "I am English student" 라고 말한다차이가 보이는가한국인은 study라는 동사에 힘주어 서술하지만 영어인은 English student라는 명사에 힘주어 명명한다한국어는 서술어가 복잡하게 전개된다명사로 표현하면 끊어지겠지만한국인이 동사로 말하다보면 이건 그런데 저건 아니고 하면서 길어지는 게 당연하다.


I was hoping to see you. (오리지널영어)

I hoped to see you. (한국식영어)


I am not a fighter.(아케인 중)

> 난 싸움 못 해.(한국어 번역)

 

이는 영어를 쓰면 단문으로 잘 끊어지는 것과 대조된다한국어는 길게 말하다가 주어와 호응이 안 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길게 말하다보면 주어가 뭐였는지 까먹기 때문이다그럼에도 두 언어의 목적은 같다화자가 관측한 사건을 표현하려는 것이다영어는 일단 명사를 선언하고 그 다음에 who is.. which is.. 하는 식으로 선언한 명사에 대한 부가설명을 덧붙여 부족함을 채우려 한다.

 

반면 한국어의 어순은 연역하기 좋게 생겼다명사부터 말하기 때문이다문제는 언어의 방법은 거꾸로인 귀납이라는 것이다작은 것에서 큰 것을 가리킨다모순이 발생하므로 이를 해결하고자 한국인은 동사로 길게 설명하여 그 부족함을 채우려 한다동사를 사용하여 더 큰 전제를 말해야 하니깐두 어순 모두 나름의 한계를 보충하는 꼼수가 생긴다.

 

영어는 귀납이다나부터 시작된다작은 나에서 큰 세계로 관점방향이 머리에 머리를 물며 확대된다영어는 인간관점(생각)의 흐름을 그대로 반영한다동사는 명사와 명사를 연결하는 역할만 한다그래서 말하기가 쉽다한국어가 어려운 것과 대조된다영어의 명사는 눈에 잘 보이니깐눈에 잘 보여서 명사를 붙인 거니깐.

 

Node가 이렇다꺾이는 부분이다동사인 Edge는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노드가 선행해야 둘 사이를 잇는다그러나 사실은 에지가 먼저라는 걸 알면 깨달음이다인간의 입장이 반영된 게 선노드후에지 어법이고자연은 선에지후노드다관측자 입장에서 명명하면 이렇다자연과 인간의 관점이 다른 것은 자연의 사건은 중첩되어 연역되기 때문이다인간이 관측한 어떤 노드는 그 이전에 어떤 에지에 의해 낳아진 것이다.

 

설명이 복잡해져 헷갈리는 이유는 자연과 인간의 관점이 반대이기 때문이다어떤 하나를 두고 자연의 방향에서 명명한 것과 인간의 반대 방향에서 명명한 것이 다르다말할 때마다 연역어순에 의하거나 귀납어순에 의한 단어라고 말하려면 말이 너무 길어지잖아청자가 눈치껏 알아들을 수밖에.

 

그리고 두 언어의 어순에 차이가 나는 것은 화자 간 생각의 방향이 다르기 때문이다. 생각의 방향은 개인의 관계에서 유래한다. 옛날 사람들이 어법 같은 걸 신경써서 설계했겠는가말하다 보니 정착된 것이다. 소통에서 중요한 것은 내용 이전에 관점의 공유다. 농경민어와 유목민어의 차이라는 말도 설득력이 있다. 농경민은 자립이 가능하지만 유목민은 집단을 이루어야 한다. 개인어와 집단어의 차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로컬은 서로가 아는 것이 있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어순이고, 글로벌은 모를 때 사용한다. 서로 공유하는 것이 있으므로 그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서술어로 표현하는 게 한국어고, 공유하지 않으므로 나로부터 표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게 영어다. 가령 당신이 외계인과 대화를 할 때는 자연스럽게 영어의 어순으로 말하게 된다는 말이다. 공유하는 게 없기 때문이다. 손가락으로 먼저 나를 가리키고, 밥 먹는 시늉을 한 뒤에, 밥을 가리켜야 청자가 순서를 이해한다.


#


그래서 어쩌라고길게 설명했지만 해법은 단순하다한영을 번역할 때는 한국말의 동사를 영어의 명사로 만드는 것에 신경쓰라는 말이다한영 번역을 할 때 어순도 중요하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동사를 명사화하는 것이다어차피 문장을 다 읽고 이해하는 놈은 없다. 각 언어권 사용자들은 키포인트만 찾아서 문장의 핵심을 잡는다. 한국학생들이 영독해를 어려워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한국인은 본능적으로 동사를 찾아헤맨다한국어가 그러니깐근데 영어인들은 동사를 대충 쓰고 명사에 주제를 심혈을 기울여 반영한다. 독자가 엄한 데를 짚으니깐 독해가 어려워지는 것이다. 한국인이 영어로 작문해도 같은 현상이 생긴다. 한국인은 한국화영어를 잘 알아듣는게 이유가 있었다. 


명사화, 이것만 알아도 대화는 된다.

Drop here!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3 질 입자 힘 운동 량 (google doc) 4 dksnow 2021-12-16 1579
32 2021.12.16 구조론 번역 모임-줌온라인 2 오리 2021-12-15 1337
31 2021.12.09. 구조론번역 회의록 4 mowl 2021-12-11 1625
30 초역용 샘플 번역 작업 이금재. 2021-12-10 1496
29 Correct defining & the supernatural 이금재. 2021-12-09 1307
28 구조론 영어사이트 제작 모임[zoom online] 오리 2021-12-08 1286
27 구조론 번역을 위한 깃북 페이지 링크입니다. 이금재. 2021-12-07 1177
26 구조론 영어사이트 제작모임 10 오리 2021-12-01 1429
» 나는사랑해... 너를. [번역론] 이금재. 2021-11-30 1579
24 해봅시다, 구조론 번역 프로젝트 1 ahmoo 2021-11-21 1798
23 깨달음은 둘째 내게서 네게로 나아가는 '삶'을 깨닫는 것이다. 윤이상 2014-09-18 20429
22 마르크스 구조론 2 창준이 2014-08-26 19120
21 깨달음은 첫째 출발점이 되는 '나'를 깨닫는 것이다 3 윤이상 2014-05-18 18525
20 어디까지 왔나? 3 큰바위 2014-01-12 16975
19 우리는 가르치지 않는다 11 윤이상 2013-05-13 15904
18 초대: 마음의 길잡이 2 윤이상 2013-04-26 4742
17 인문학의 힘 / Сила гуманитарного знания 1 wisemo 2013-04-10 4623
16 "상부구조는 역사, 진리, 문명, 진보, 공동체이며 그 정점은 신(神)이다." Высшие структуры - это история, истина, цивилизация, прогресс, общество, и выше всех Бог 3 wisemo 2013-03-14 5413
15 깨달음 27문 27답: Познание: 27 вопросов и 27 ответов 3 wisemo 2013-02-08 4821
14 하는 일이 잘 안 될 때는 Когда что-то не получается “달이뜨다” 164페이지 “Восход луны“ 164стр. 2 wisemo 2013-02-07 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