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4107 vote 0 2002.09.28 (11:46:10)



귀족의 대표는 귀족처럼 생겼고 서민의 대표는 서민처럼 생겼다. 이 한 장의 사진이 많은 것을 생각케 한다.

귀족은 성공하고 있다. 그러나 그 성공의 과정은 부당한 것이다. 귀족은 그 과정의 부당성을 은폐하기 위해, 귀족이 성공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만들어 낸다.

그것은 인종적 우월성이다. 귀족은 우월한 혈통을 타고났기 때문에 성공은 정당하다는 것이다. 귀족이 혈통의 우월성을 증명하는 방법은 미인과 결혼하는 것이다. 이회창은 가문 대대로 미인과 결혼하고 있다. 그 증거는 이 사진에 드러나 있다.

서울대출신이 연,고대 출신과 다른 점은 미인에 집착한다는 점이다. 이 점은 유난하다. 미녀를 아내로 맞지 못하면 동창모임에 참석할 수 없다는 식이다. 그것은 서울대출신자 대부분이 가지는 콤플렉스다.

왜 그들은 콤플렉스를 가지며 미녀와 결혼하는 방법으로 그 콤플렉스를 감추려 드는 것일까?

인간은 평등하기 때문이다. 서울대 출신이 특별히 뛰어나지 않다는 것은 그들 자신이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연, 고대 출신이라면 이런 문제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다양한 인간유형이 섞여있기 때문에 그들의 공통적 콤플렉스가 도드라지지 않는 것이다.

서울대출신은 다르다. 그들은 공통적인 콤플렉스를 소유하고 있으며 그 점은 그들 사이에서 확연하게 드러나고 비교된다.

체질을 해 보자. 뉘도 달아나고, 티끌도 달아나고, 지푸라기도 달아난다.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섞여 있는 것이다. 그러나 최후에 남는 것은 돌 뿐이다. 서울대는 말하자면 체질을 거듭한 끝에 최후에 남은 것이며 그들의 공통적인 특성은 확연히 드러난다.

인간은 평등하다. 두뇌가 뛰어난 남자는 얼굴이 잘 생긴 여자를 찾는다. 그러나 아뿔사! 자녀의 두뇌는 남자보다 여자가 결정하는 경향이 더 강하다.

반드시 그렇지는 않겠지만 뛰어난 지능의 여성과, 지능이 뛰어나지 못한 남성이 결혼했을 때와 그 반대의 경우를 상정했을 때 모계 쪽의 지능지수가 더 유의미한 결과를 낳는다.

평균적인 지능지수로 말하면 남자가 여자보다 더 낫다. 그 이유는 두뇌의 성장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빠르기 때문이다. 여성은 두뇌의 성장이 빠르므로 언어중추가 발달해서 7살 여자아이가 같은 나이의 남자아이보다 말을 더 잘한다.

두뇌의 성장이 빠르다는 것은 두뇌의 성장이 더 일찍 종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은 남자보다 2차성징이 더 일찍 나타난다. 초등학교 5학년 교실에서는 여자아이가 남자아이보다 더 키가 크다.

여성이 남성보다 더 빨리 두뇌와 신체가 성장하므로, 그 성장의 완료시점 역시 더 이르다. 여자가 더 빨리 학습하고 더 빨리 학습을 중단한다. 이러한 점에서 여성과 남성은 약간이지만 분명한 차이가 있다.

우리는 막연하게 남자의 두뇌가 자녀의 지능을 결정할 것이라는 식의 편견을 가지고 있다. 실은 그 반대이다.

귀족이란 무엇일까? 인간의 지적 능력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 중 특정한 한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발달시켜온 유전형질이다. 그들은 특정한 유전형질집단과 결혼하므로 유전적으로 건강하지 못하게 된다.

그들은 사고에서 행동에서 인격에서 어떤 종류의 편향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점은 그들에 의해 지배되는 사회에 커다란 위기를 조성한다.

미국이라고 치자. 세계 곳곳에서 온갖 종류의 다양한 유전인자가 몰려든다. 그러므로 그러한 위험은 도드라지지 않는다. 한국은 바닥이 좁다. 이 좁은 바닥에서 체로 여러번 걸러내면 같은 하나의 유전형질만 남게된다. 획일화된다.

획일화는 위험을 초래한다. 건강하지 못하게 된다. 이 한 장의 사진이 그것을 증명하고 있다.


덧글..
이상은 여러 곳에서 얻은 지식이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서로 다른 텍스트에서 모순된 내용을 발견했을 때 그 중 어느쪽을 취하는가는 필자의 주관에 따른 것이므로 오류의 가능성은 항상 있습니다.

drkimz.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887 나는 왜 사랑을 말하는가? 김동렬 2008-03-10 14865
1886 구조체의 이해(업데됨) image 김동렬 2008-03-06 14311
1885 쿨하다는 것 2 김동렬 2008-03-02 15401
1884 쿨하다는 것 김동렬 2008-03-01 14826
1883 구조론의 의미 김동렬 2008-02-28 11308
1882 구조론의 탄생 김동렬 2008-02-27 10805
1881 구조론과 결정론 김동렬 2008-02-26 15047
1880 구조는 통합형의 모형을 제시한다 김동렬 2008-02-23 13121
1879 아래에 추가 김동렬 2008-02-23 13165
1878 달마실이 가는 길 김동렬 2008-02-20 10520
1877 세 가지 깨달음에 대해 김동렬 2008-02-20 13781
1876 손가락이 다섯인 이유 김동렬 2008-02-19 13529
1875 구조론 총론 김동렬 2008-02-13 11865
1874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02-10 15709
1873 소통의 부재 김동렬 2008-02-06 14617
1872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김동렬 2008-02-02 16135
1871 미라이 공업의 경우 김동렬 2008-02-01 16482
1870 글쓰기와 글읽기 김동렬 2008-01-31 13036
1869 깨달음 세상 사람들 김동렬 2008-01-28 13966
1868 부조리에 대해서 김동렬 2008-01-27 12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