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3855 vote 0 2009.12.24 (18:27:49)

아래 '진짜배기가 필요해' 편과 이어집니다.

구조적인 이해가 중요하다. 몸과 맘과 삶이 별도로 있는 것이 아니라 '나'라는 하나의 존재가 전개하는 과정이다. 존재는 그냥 우두커니 있는 것이 아니라 존재 자신을 펼쳐서 세상에 드러낸다.

깨달아야 할 ‘나’도 하나의 존재다. 나를 펼쳐내는 단계가 몸이고 맘이고 삶이다. 가난할 때는 몸이 중요하다. 배부터 채운다. 가난을 극복하니 맘이 고프다. 마음의 양식인 지식을 채워야 한다.

배 채우고 지식 채웠다면 삶을 채워야 한다. 더 높은 목표를 제시하자는 것이다. 깨달음은 이 셋을 관통하는 근원의 하나를 깨닫는 것이다. 물러나 몸 이전을 깨닫고 나아가 삶 다음까지 깨닫기다.

몸 이전에 무엇이 있었나? 자연이 있었다. 몸과 맘과 삶을 거쳐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며 1 사이클을 완성한다. 깨닫는다는 것은 그러한 전개과정에서의 완전성을 깨닫는다는 것이다.

존재는 그냥 존재가 아니라 세상이라는 무대 위에서 전개하는 존재, 펼쳐지는 존재, 한 떨기 꽃처럼 피어나는 존재이기 때문에 제대로 꽃을 피웠는지가 문제로 된다. 완전성의 문제가 제기된다.

그러므로 완전성을 포착하게 하는 통짜덩어리 인식이 필요하다. 전모를 볼 수 있는 정상에서의 시야가 필요하다. 전체를 한 줄에 꿰어내게 하는 상부구조의 건설이 필요하다. 깨달음이 필요하다.

그것으로 무엇을 얻는가? 비참을 극복한다. 인생의 고(苦)는 몸의 고단함이 아니요 마음의 우울함이 아니다. 삶의 비참이 진짜다. 그러므로 구원되어야 한다. 몸이 치료되는 것이면 삶은 구원되는 것이다.

구원은 수렁에 빠진 사람이 외부의 손길에 도움받아 빠져나오듯 그 상황에서 완전히 떠남으로써 가능하다. 폭력배가 어둠의 세계를 떠나고, 노예가 주인에게서 놓여나듯 완전히 그 세계를 떠난다.

인간을 이롭게 하는 상승이 그곳에 있다. 인간을 진정으로 이롭게 하는 것은 몸의 배부름이나 마음의 평안이 아니다. 구원에 의한 상승이다. 혼자서는 상승이 불가능하다. 세상과의 관계맺기로 가능하다.

깨달음에 기초한 폭넓은 사회적 소통을 통한 집단지성의 성립과 그 사회적 인격의 획득에 의해 진정으로 상승이 가능하다. 대승의 정신이 ‘세상을 바꾸는 기획’에 있는 것이 바로 그 때문이다.

석가는 인생을 고(苦)로 규정하고, 그 원인을 욕망에의 집착에서 찾았으며, 욕망을 끊는 것을 구원으로 보았다. 그러나 약하다. 기독교는 원죄를 주장한다. 그러나 가짜다. 어느 쪽도 답은 아니다.

진정한 구원은 비참을 벗어나는 것이다. 수렁에서 빠져나오는 것이다. 비참은 기독교의 원죄처럼 주어져 있다. 비참은 ‘삶의 허무’라는 존재 그 자체의 본질적인 한계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

존재는 펼쳐내는 것이다. 내 안의 잠재된 능력을 펼쳐내지 못함이 비참이다. 닭이 새벽을 맞아 울지 못하고, 개가 도적을 맞아 짖지 못하고, 말이 달리고 싶어도 달리지 못한다면 그것이 비참이다.

실존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독교가 지배하던 시절에는 신의 은총에 의해 인격이 부여되는 줄 알았다. 인간의 영혼 속에 인격을 보증하는 윤리와 도덕의 원소가 침투하여 있는줄 알았다.

개에게 없고, 닭에게도 없으며, 쥐에게도 당연히 없는, 신의 콧김으로부터 전해진 특별한 생명의 원소가 인간의 영혼에 깃들어 있으며 그것이 윤리와 도덕을 낳고 인간자격을 담보하는 줄 알았다.

귀족에게는 그것이 많고 노예에게는 그것이 적은줄 알았다. 칸트는 이성이라는 개념으로 이를 정리했다. 그러나 그것은 없다. 과학이 규명했다. 니체가 ‘신은 죽었다’고 말한 것이 그 때문이다.

인간의 비참을 정면으로 직시한 것이 실존이다.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고 했다. 본질은 이성을 앞세우는 칸트의 입장이다. 실존이냐 본질이냐 이성이냐 부조리냐. 과학은 샤르트르의 손을 들어주었다.

과학적 사고는 수학적 사고다. 수학적 사고는 연역적 사고다. 연역의 출발점이 되는 기점이 필요하다. 데카르트가 말한 제 1 원인 말이다. 칸트는 이성을, 샤르트르는 실존을 제 1 원인으로 삼았다.

데카르트는 존재를 말했다. 존재는 펼쳐진다. 펼쳐지지 않은 씨앗은 명목이다. 펼쳐진 꽃은 기능이다. 명목은 존(存), 기능은 재(在)다. 인간은 몸에서 맘으로 삶으로 존재 그 자체를 차례차례 펼쳐낸다.

몸은 씨앗, 맘은 줄기, 삶은 꽃이다. 인간이 비참한 이유는 그 씨앗이 싹트지 않기 때문이다. 그 줄기로 자라난 싹이 꽃 피우지 못하기 때문이다. 삶이라는 꽃 을 피우지 못하는 것이 부조리다.

인간의 모든 고민을 근원의 두 질문으로 정리할 수 있다. 하나는 ‘누가 물어봤냐고?’다. 둘은 ‘그래서 어쩌라고?’다. 누가 어디서 어떤 주장을 하든 피해갈 수 없는 이 두 질문 앞에서는 당혹해 한다.

돈이 많은 자든, 지식이 많은 자든, 권세가 있는 자든, 명성을 얻은 자든 이 두 질문 앞에서는 초라해지고 만다. 사회라는 게임의 규칙 안에서 대접받는 돈과 지식과 권세와 명성이 부조리 앞에서 허무다.

전자는 ‘왜 사는가?’다. 후자는 ‘어떻게 살것인가?’다. 전자는 존재의 명목을 묻고 후자는 존재의 기능을 묻는다. 명목은 씨앗이고 기능은 꽃이다. 과거에는 거짓 대답으로 숨는 방법을 썼다.

귀족으로 태어난 것을 삶의 명목으로 삼고 존귀한 대접을 받는 것을 기능으로 삼았다. 그러나 그 귀족제도는 폐지되었다. 씨앗이 다르고 꽃이 다르다고 우겼다. 과학에 의해 그 거짓말은 폭로되었다.

종교도 나름대로 대답을 한다. 천국을 명목으로 삼고 기도를 꽃으로 삼았다. 그러나 거짓되다. 삶 안에서 그 명목과 기능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 실존 개념이다. 그 방법으로 허무를 극복해야 한다.

존재로부터 출발한다. 존재의 반대편에 무엇이 있는가? 허무가 있다. 존재는 어떻게 허무를 극복하는가? 꽃피움으로써 가능하다. 내 안의 가능성을 실현함으로써 가능하다. 대승의 기획에 참여하기다.

● 존재의 씨앗은 명목 - 왜 사는가? (누가 물어봤냐고?)
● 존재의 꽃은 기능 - 어떻게 살 것인가? (그래서 어쩌라고?)

세상이라는 극장을 찾아왔다. 누구도 나를 무대 위로 불러주지 않았다. 어떻게 해서 간신히 무대 위로 기어올랐으나 정작 그 무대에서 부를 노래가 없다. 그러므로 완전성을 고민해야 한다.

존재 그 자체의 본질적 한계다. 존재는 씨앗이며 그것은 하나의 가능성이다. 깨달음은 비참을 극복하는 것이며 소통≫집단지성≫사회인격에 의해 더 높은 레벨로 상승함으로써 비참이 극복된다.

그것이 인간을 이롭게 하는 것이다. 그 무대 위로 오르기 위하여 이상주의라는 명목이 나오고 그 무대 위에서 한 곡조 뽑기 위하여 미학이라는 기능이 나온다. 그것으로 삶을 완성하기다.

● 존재는 불완전하다.
● 존재의 불완전성을 노출시키는 것은 허무다.
● 존재는 명목과 기능, 곧 씨앗과 꽃으로 자신을 전개시키므로 불완전하다.
● 존재의 불완전성과 그 불완전성을 극복하게 하는 완전성을 아는 것이 깨달음이다.
● 자연에서 온 인간이 몸≫맘≫삶을 거쳐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는 1 사이클의 에너지 순환을 완성시키는 것이 깨달아야 할 완전성이다.

● 인간을 이롭게 하는 것은 상승 뿐이다.
● 구원은 상승하여 그 세계에서 완전히 탈출하는 것이다.
● 존재의 불완전성 허무가 삶의 비참으로 나타나기에 인간은 상승해야 한다.
● 내 안의 잠재한 가능성을 세상이라는 무대에서 실현함으로써 인간은 구원된다.
● 사회의 명목인 이상주의(집단지성)와 기능인 미학(콘텐츠)으로 전개하는 대승의 기획에 참여함으로써 존재는 꽃 피우고 비참은 극복된다.

http://gujoron.com


[레벨:12]부하지하

2009.12.24 (21:59:41)

헥헥, 단숨에 읽었더니
[레벨:3]스타더스트

2009.12.25 (13:00:38)

 메리 크리스마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09.12.28 (13:40:49)


본문에서 "상승"한다.완전히 그 세계를 떠난다.라는 의미에 대해서 다시한번 풀어서 설명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흠..해탈이란 말과도 일맥상통할까요....?....
^^;()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09.12.28 (17:06:02)






너무 거창하게 해석하실 것은 없고 종교적 관점에서 바라볼 이유도 없습니다.
중요한 점은 '관계'라는 것은 원래 짝을 짓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레벨이 있다는 사실입니다.

예컨대 걸어서 출근하던 사람이 어느날 자동차를 구입하면 모든 것을 높은 수준으로 바꾸어야 합니다.
라면>정식, 여관>호텔, 시장>백화점, 슈퍼>대형마트, 서울대공원>에버랜드, 관악산 등산>제주도 여행

이걸 자신의 의지대로 할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시장이나 슈퍼에는 주차장이 없기 때문에 백화점이나 대형마트로 갈 수 밖에 없고

그 기준에 맞추다 보면 모든 것이 달라지게 됩니다.
세상을 바라보는 눈 자체가 바뀌는 거지요.

문제해결 방식도 바뀌게 됩니다.
서비스비용 안 내고 돈 아끼자는 실용노선에서 벗어나

어차피 내는 비용이니까 서비스나 알차게 받자는 명목노선을 추구하게 됩니다.
팁이 가격에 포함되어 있어서 어차피 나가는 돈이니 목에 힘이나 주고 폼이라도 잡아야 하지요.

상승한다 함은 몸의 이로움 혹은 마음의 이로움을 꾀하는 실용노선을 벗어나서
관계와 명분을 추구하는 노선으로 갈아타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인간은 이로움을 추구하지만 어차피 죽으면 끝이기 때문에
다음 세대를 위하여 뭔가 의미있게 남기는 것을 추구하게 되는 것입니다.

즉 하나의 존재가 명목>기능으로 세팅된다면
명목이 자궁이고 기능이 그 자궁 안에서 피어나는 꽃이라면

나의 이로움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이라는 새로운 자궁을 건설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 세상의 자궁에서 피는 꽃은 다음 세대에 가서 결실이 있겠지만 인간은 그것을 추구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 방법으로 좋은 친구를 얻고 좋은 친구로부터 최고의 대접을 받는 것만이 인간이 얻을 수 있는 최선입니다.
왜냐하면 어차피 죽어서 무로 돌아갈 것이 뻔하니까.

한 개인이 개인차원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몸의 쾌락과 마음의 평안 뿐이지만
그것의 가치는 한번쯤 체험해보는 정도이고 그 결론은 허무.

사회라는 더 높은 레벨의 세계로 상승할수 있지만 그 자궁만 건설하고
그 수확은 다음 세대가 얻는 것이며 자신에게 돌아오는 혜택은 친구를 얻고 그들로부터 최고의 대접을 받는 것 뿐.

결국 인간이 삶에서 무엇을 얻을 것인가?
몸의 쾌락? 마음의 평안? 최고의 친구로부터 최고의 대접?

제가 말하는 것은 세번째고
그것은 더 높은 레벨로 상승해야만 얻을 수 있으며

관계맺기로 가능하고 거기에는 레벨이라는 관문이 있으며 그것이 구원입니다.
초능력을 구사하는 슈퍼맨이 된다거나 천국이라는 곳을 가게 된다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 따위는 죄다 지어낸 거짓말입니다.
더 높아지는 것은 인류의 집단지성 밖에 없으며 그 지성의 전개 안에서 대접받을 수 있는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것 밖에 없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09.12.28 (17:39:34)


그렇군요... 그러나 아직도 세상은 제 한몸 해결하지 못하고 아파하고 끙끙대며 사는 사람들이 많고 모두 그것만 구원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물론 그것도 좋겠지요.자신이라도 구원할 수 있다면...

그러나 요즘 생각해보면...백날 머리 싸매고 고민해도,그것에서 벗어나려해도,마음을 비우고 평안을 추구하려해도...안되던 것이...
관심을 더 높은 곳에 두는 것으로,나를 한층 더 높은 곳에 가져다 놓음으로서(물론 이것은 마음과 정신의 얘기입니다.)정신적 갈등과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아주 자연스럽게..뱀이 허물을 벗듯이...가볍게 빠져나옴을 느꼈습니다.물론 온전한 것은 아니지만 감은 잡았다라는 것이지요.실제생활에서...그동안 마음이 지치니 몸도 지쳐서 여전히 아직은 피곤하지만..운동해야지요,.ㅋㅋ^^;

물론 인간은 몸의 쾌락과 마음의 평안과 최고의 친구로부터 최고의 대접..이 세가지 모두 다 추구하고 싶겠지만,저역시 세번째가 좋지요. 친구와 소통하는 즐거움은 정말 크거든요.
그러나 생각해보면...몸의문제 마음의 문제도 다 해결못한 것이 사실인것도 같구요.^^:
그래서 ..더욱더 가던길 마저 가야겠지요. 답글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265 차별은 잘못일까? image 김동렬 2015-12-03 4502
3264 구조론적인 사유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12-03 4786
3263 사랑의 정석 5회 1 김동렬 2015-12-02 4428
3262 진짜 역사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12-02 5026
3261 예술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12-02 5635
3260 유교는 사랑이다. image 3 김동렬 2015-12-01 5473
3259 사랑의 정석 4회 2 김동렬 2015-12-01 4345
3258 큰 것에서 작은 것이 나왔다 image 김동렬 2015-12-01 4624
3257 케인즈가 옳다 image 김동렬 2015-11-30 4727
3256 사랑의 정석 3회 1 김동렬 2015-11-30 4446
3255 예능프로의 포맷구조 image 김동렬 2015-11-30 5091
3254 언어의 비밀 image 1 김동렬 2015-11-28 5515
3253 수평에서 수직으로 도약하라 image 김동렬 2015-11-27 4951
3252 사랑의 정석 2회 image 1 김동렬 2015-11-27 4605
3251 성공으로 가는 5단계 image 김동렬 2015-11-26 5530
3250 세가지 우주의 모형 image 김동렬 2015-11-26 4913
3249 사랑의 정석 1회 image 4 김동렬 2015-11-26 4887
3248 새가 한쪽다리로 서는 이유는? image 1 김동렬 2015-11-26 6451
3247 균일 불균일 다시 균일 김동렬 2015-11-25 4744
3246 대칭에서 모형으로 올라서라 image 김동렬 2015-11-25 5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