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read 7224 vote 0 2012.02.15 (16:50:31)

 

 

[34]역사 스페셜1-1.jpg  [34]역사 스페셜2-1.jpg

 

신라 인면 유리구슬 펜던트

 



 

 [34]역사 스페셜3-1.jpg

 

경주 황남동 미추왕릉에서 출토된 인면 유리구슬.

투명한 유리구슬 위에 있는 청색의 동그란 유리 구슬이 인면 유리구슬이다.

 

 

 

역사스페셜.E093.120119.제임스랭턴 박사의 역사추적-2부 유리구슬의 대항해.HDTV.XviD-KOR.avi_002316082.jpg

 

동자바 섬에 전래된 초창기 불교의 불상


 

 

 

 [34]역사 스페셜7-1.jpg

 

 

역사스페셜17.jpg

 

프렌지판(용화수) 꽃나무


 

 

 

6.jpg

 

로마에서 홍해를 지나 인도를 거쳐 동자바 섬을 지나 광동을 거쳐서 울산까지 연결된 바닷길.

그리고 이 시기에는 백제와 가야로 이어지는 바닷길들 역시 각 나라들로 진입하는 여러 루트가 존재했을 것이다.

육로로는 비단길과 차마고도가 있었고, 바닷길 역시 활발하게 무역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역사스페셜15.jpg

 

역사스페셜16.jpg



함사

 

 

 

 [34]역사 스페셜9-1.jpg

 

동자바 자팀(자바 유리구슬) - 동자바의 자팀은 거석문명과 거의 시기가 일치하고 있다.
 

 

 

역사스페셜.E093.120119.제임스랭턴 박사의 역사추적-2부 유리구슬의 대항해.HDTV.XviD-KOR.avi_001291124.jpg

 

인도 남부 아리카메두에서  출토된 씨앗 유리구슬

 

 

 



역사스페셜.E093.120119.제임스랭턴 박사의 역사추적-2부 유리구슬의 대항해.HDTV.XviD-KOR.avi_000889956.jpg

 

 

 [34]역사 스페셜8-1.jpg

 

로마 유리구슬에 새겨진 인면상 - 이 인면상의 주인공은 메두사이다.

주로 전사들의 무덤에서 발견된다.



 

9.jpg

 

'메두사 머리' 펜던트

 

 

 

 

 

 

10.jpg

 

 '악마의 눈' 펜던트

 

 

 

 

 

11.jpg

 

까메오 여인 펜던트

 

 

12.jpg

 

까메오 연인 펜던트

 

13.jpg

 

까메오 소년 펜던트

 

 

 

 

 


 

신라 인면 유리구슬에 대한 실마리를 풀어가는 다큐멘터리 역사 스페셜 '랭턴박사의 역사 추적' 을 보면서 오래전에 만든 유리구슬이 참 멋스럽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 유리구슬 하나로만 목걸이를 해도 예쁠 것 같았다. 솔직히 예쁜 목걸이에 시선이 가서 좀더 자세히 보게 되었다.

이 인면유리구슬이 신라까지 오게 된 배경을 살펴보자면...


로마에는 액막이 전통이 있어서 메두사의 머리 인면이 있는 유리구슬 하고 다니는 풍습이 있었는데 주로 로마의 인면 구슬은 전사들의 무덤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지금도 그 풍습은 여러 지역에 액막이 부적 형태의 목걸이로 제작되어 팔리고 있다. 동유럽과 터키에서는 '악마의 눈' 이라는 펜던트나 다양한 장신구로 팔리고 있다.

로마의 유리세공 기술이 인도를 거쳐 동자바섬 까지 전파 되었는데, 동자바섬 에서는 조금 독창적인 유리구슬을 만들었다. 이 장신구가 네 면에 인면을 새겨 넣은 '인면 유리구슬' 장신구이다.

인면 유리구슬을  보고 일본인 사학자는 로마시대의 왕의 모습이라고 추정 하였으나, 추적결과 부처상을 인면상으로 형상화 한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이 인면 유리구슬의 인면의 주인공은 자바섬에 전래된 부처의 두상이다. 유리구슬에 새겨진 눈을 뜨고 있는 부처의 모습은 불교가 자바섬에 전래된 시기에서 초기 형태의 부처상을 본 딴 것이다. 그리고 유리구슬에 새겨진 새는 함사라는 상상의 새이다. 함사라는 새는 힌두교 브라흐만 사원에도 조각 되어져 있는데, 브라흐만이 이동할 때 타고 다닌다고 한다. 자바섬에 힌두교 전래는 4c경이고 불교의 전래는 5~6c경이라고 한다. 문화융합이거나 포섭이라고 볼 수 있는 부분인거 같다. 유리구슬에 새겨진 꽃(용화수)은 프렌지판 이라는 꽃나무인데 부처에게 공양하는 꽃이다.

 

이로서 로마의 유리세공 기술의 전파 경로가 자바섬에 이르렀고, 로마의 인면 유리구슬이라는 모티브와 인도의 씨앗 구슬을 만드는 기술이 동자바에서 문화 융합을 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인면 유리구슬이 신라까지 바닷길을 통해 전래되었다. 그 당시에도 바닷길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화적 교류와 무역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신라 인면 유리구슬을 통하여 해상무역의 거점들을 밝혀내므로 인해서 생생하게 바닷길의 실체를 살펴 볼 수 있었다. 이 인면 유리구슬을 통하여 그 당시 장신구의 멋스러움도 볼 수 있기도 하지만, 무역을 활발하게 하고 있었고 그리 닫혀있는 세상만은 아니었다는 것도 증명하는 거 같다. 각 나라에서 전해진 문화들이 서로 만나고 융합하고 새롭게 독창성으로 나타나고 있었던 것 같다.


 


여기서 왜 이런 액막이 부적 형태의 펜던트나 장신구가 만들어졌는지 살펴 보자면...

"악마의 눈(Evil eye)"은 어떤이가 마술적 눈으로 악의적 시선을 희생자에게 쏟아 부을 수 있다는 직설적 의미("저주(cursed)") 보다는 오히려 오래된 영국 이나 스코틀랜드 사전에는 어떤 사물이나 사람등을 탐낸 나머지 오랫동안 "바라보는 것(overlooking)"이라 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결국 이런 행위(overlooki ng)가 어떤 부러움의 대상한테 의도하지 않게 질투의 눈을 보내게 되고, 이때문에 상대방은 불운(misfortu nate)이 찾아올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된 것. "

로마에서 유행했던 메두사 머리 유리구슬도 안 좋은 시선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의미였을 것이다. 메두사 머리 펜던트나 악마의 눈 펜던트는 모두 시샘, 질투, 부당함으로 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의미가 들어 있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시선' 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 같다.

부러우면 지는 거다... 가 아니라 너무 부러워 하면 타인을 해치기도 한다. 질투나 시샘은 대체로 불순한 의도가 생기기도 하므로... 너무 부러워 하지 말고 자기 삶을 살아야 할 듯....)

 이러한 시선으로 부터의 보호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인면상의 주인공이 동자바 섬에서는 부처상으로 바뀌게 된다. 로마에서 안 좋은 것을 오히려 부적으로 사용함으로 인해서 액을 피하고자 했다면, 동자바 섬에서는 부처상이라는 어떤 성스러움이라는 것으로 대체한 것과 같다. 문화적 차이일 수도 있겠으나, 좀 더 적극적 자세 일 수도 있고, 부적보다는 부처상이라는 고귀한 상징물을 몸에 지니므로 인해서 더 큰 지혜로서 악을 멀리하고 액으로 부터 보호 받고자 했는지도 모르겠다. 이런 패턴 유형은 악의 상징물을 몸에 지님으로서 악을 차단하고 선과 지혜의 상징물로서 선함을 유지하고 불러 들이는 유형이라고 볼 수도 있을 듯하다.

까메오 형태의 장신구들도 여기서 유래되었을 수도 있을 듯하다. 자신이 원하는 사물이나 인물을 조각하여 수호신으로 삼는 경우들이 생겨나고 정착되어 까메오 장신구 형태로 이어져 온 것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다만, 각 지역마다 문화적 차이가 있으므로 로마지역에서 들어온 유리 세공 기술과 메두사를 펜던트에 새기는 그 자체에서 영감을 받고 부처상을 유리구슬에 새긴 것일 수도 있다. 즉 그 나라에서 선호하는 그 당시의 지배적이고 전반적인 문화를 새겼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에 부적의 형태가 남아있는 경우를 보자면 처용설화가 그와 비슷한 형태라고 볼 수 있을 듯하다. 메두사의 머리나 악마의 눈은 그 유사성이 처용설화와 상당히 흡사하다고 생각할 수 있을 듯 하다.

고대에 바닷길을 통한 무역의 흔적이 현재에도 문화 형태로 남아 있는 것 같다. 그러고 보면 문화적 상관성에서 세계는 서로 그리 멀기만 했던 것이 아니었음을 또 다시 확인할 수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2.02.15 (16:55:05)

사진을 교체하고 조금 수정 했는데...아래 글에서는 수정과 삭제가 안되네요.

그래서 글을 다시 올렸습니다.

먼저 올린 아래글은  삭제를 부탁드립니다. ^^;

 

프로필 이미지 [레벨:9]난너부리

2012.02.15 (18:40:43)

메두사 상을 부적으로 쓰는 이유가 특히 흥미롭네요 재밌게 봤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2.02.16 (12:01:08)

저도 ^^;첨 알았네요.
메두사 목걸이는 보았는데 그런 의미가 있는지는 몰랐지요.
아마도 메두사 눈을보면 모두 돌이 된다는 것에서 유래된듯해요. 모든 안좋은 시선들은 메두사 눈을 보면 돌처럼 굳어서 힘을 쓰지 못하게 한다. 라는 심리가 반영된듯 해요.
[레벨:4]토마스

2012.02.15 (21:49:49)

 

메두사 상을 달고 다니면 기분이 썩 유쾌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2.02.16 (12:12:07)

문화적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그쪽 사람들이 시선에 민감하다는 얘기가 되는 것일까? 시샘이나 시기로 자신이 부당한 액운을 받는다고 여겼기 때문에 부적을 가져서 보호 한다고 여겼는데...
이는 드러내놓고 보호 받고자 하는 것 같다고 생각 되네요. 오래동안 바라보는 시선으로 부터의 보호이니...사람으로 부터의 보호인 것이고, 노출된 것을 보호하는 의미도 크다고 생각되네요.

반면 우리나라 종이 부적은 은밀하게 숨겨야 되는 것이므로 ... 부적을 생각하는 것에서 서로 조금은 태도가 상반되지만, 부적을 쓰는 문화가 있었고 있다라는 것에서는 동일한 것이고,

노출된 부적이든 은밀한 부적이든...모두 문화적 관점의 차이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812 생명의 진화와 소멸 2 양을 쫓는 모험 2010-07-07 7061
4811 보리수(보리장) image 10 안단테 2009-07-03 7046
4810 도서관에서 생긴 일 4 양을 쫓는 모험 2010-09-16 7026
4809 넝쿨장미가 담을 넘고 있다... image 11 안단테 2009-05-20 7021
4808 거리에서 눈내리는 마을 2010-09-15 6984
4807 인생의 방향과 양 image 3 눈내리는 마을 2010-07-24 6983
4806 드디어 미/중의 접점이.. 노란고양이 2010-07-20 6983
4805 시뮬라크르와 구조론 6 bttb 2010-07-17 6972
4804 김시습은 누구인가? image 8 김동렬 2013-02-03 6970
4803 오늘 누군가와 만난다면 image 눈내리는 마을 2010-09-01 6954
4802 구조론 독서 모임 공지(내용 업뎃) image 2 챠우 2016-09-05 6951
4801 사라지는 황토고원 image 2 김동렬 2014-03-04 6943
4800 대칭의 수학 군론 2 똘추 2015-08-05 6939
4799 쿠웨이트에서 내가 먹은 것들 image 9 양을 쫓는 모험 2010-04-12 6929
4798 오늘 누가 당첨될까? 2 노매드 2010-07-26 6928
4797 note 2 1 눈내리는 마을 2010-09-24 6921
4796 4 아제 2010-09-13 6899
4795 수준문제, 한국사람이 일본을 접어 봐도 되는 이유 2 ░담 2010-06-25 6881
4794 18대 대선 예상 투표율 7 새벽강 2012-12-19 6877
4793 트위터에 구조론 공부방 개설했슴다 1 오세 2010-07-26 68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