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6312 vote 1 2011.09.05 (18:55:22)

    

know, can, ken, honor, ignore들은 모두 어원이 같다. ‘꺼낸다’가 본래의 의미다. 의미가 확대되어 꺼내서 안다(know), 꺼낼 수 있다(can), 꺼내본다(ken), 꺼내서 보도록 알린다(honor), 안꺼내본다(ignore)로 전개된 것이다.

 

안다는 것은 무언가 감추어진 것을 꺼내는 것이다. 보이지 않는 이면에 무엇이 감추어져 있을까? 구조가 감추어져 있다. 배후에 감추어진 구조를 밖으로 드러내는 것이 지식(knowledge)이다.

 

33.JPG  

 

know는 꺽다(cut)+나온다(new)인데 꺽다(cut)는 까다≫끊다≫자르다로 의미가 발전하고 있다. 병아리가 알을 까듯이 꺽어내는(cut)+(new)≫까내는≫꺼내는 것이 know다. 지식은 무언가 끊어내는, 잘라내는 것이기도 하다. 지식은 칼이다. 그 칼로 무엇을 자르는가? 구조다. 내부에 감추어진 구조를 잘라서 겉으로 드러내는 것이 지식이다.

 

34.JPG

 

의사가 메스를 들이대어 인체를 해부하듯이 잘라서 단면을 드러냄으로써 내부적으로 돌아가는 구조를 밝히는 것이 지식이다. 이제 인류는 작게는 원자의 속부터 크게는 지구의 속도 알게 되었다. 사람의 뱃속에 무엇이 있는지도 알게 되었고 바닷속 심해에 무엇이 있는지도 알게 되었다. 잘라보고 꺼내보고 그 속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science의 어원은 '셀줄 안다'는 뜻이다. 센다는 말 역시 자른다(section)는 뜻이다. 잘라서 칸을 나누는 것이 세는 것이다. section의 어원도 cut이다. 그러므로 science와 know은 사촌이다.

 

과학은 셀줄 아는 것이고, 셀줄 안다는 것은 잘라서 칸을 나눌줄 안다는 것이고, 그 세어야 하는 것, 잘라서 칸을 나누어야 하는 것은 구조다. 결국 science은 구조를 다룰 줄 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식은 곧 구조를 아는 것이다.

 

  35.JPG


36.jpg  

37.jpg

 

 

38.jpg

 

가격 하나가 수요와 공급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시장경제의 효율성은 작동한다. 구조는 하나로 둘을 취함으로써 나머지 1의 잉여를 도출하여 효율을 달성하고 그 효율로 만유를 작동시키는 원천으로 삼는다. 세상은 움직이려면 힘이 필요하고 힘은 이러한 구조의 효율성에서 얻어진다. 우주 안의 모든 존재가 이 하나의 방법에 의지한다.

 

월급은 같은데 소비가 늘었다면 저축은 줄은 거다. 안 봐도 아는 거다. 안보고 알게 되므로 효율이 증가된다. 이 효율이야말로 인류가 세상을 움직여가는 근본으로 삼을만한 것이다.

 

갑과 을은 시소를 타고 있다. 갑이 오르면 을은 내리고 을이 오르면 갑은 내린다. 시소의 한쪽이 올랐을 때 다른쪽을 내리는 절차는 다섯이다. , 입자, , 운동, 량이다. 각각 원인, 작용, 제어, 반작용, 결과다. 구조론은 그동안 원인과 결과 2항으로 접근하던 것을 5항으로 세분한 것이다.

 

5로 끝난다. 6이나 7은 될 수 없다. 왜냐하면 이 숫자는 마이너스로 진행하기 때문이다. 전체에서 부분으로 간다. 5에서 시작해서 4,3,2를 거쳐 1로 마감하고 그 다음은 없다. 0으로 끝났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처음부터 한 배를 타고 시작하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포지션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그 중 하나가 포지션을 바꾸었을 때 다른 하나의 입장이 어떻게 되는가를 추적하는 것이다. 처음부터 철수와 영희가 시소에 올라탄 상태에서, 둘이 한 배를 탄 상태에서 하나가 이동했을 때 나머지 하나가 어떻게 되는지를 도출하는 것이다.

 

 

39.jpg

 

 

 

완전히 결혼한 부부 중에서 한 쪽이 죽거나 떠났다면 거기에 연동되어 남은 사람의 운명이 결정된다. 과부 아니면 홀아비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미혼남녀들 중에서 한 사람이 죽거나 떠나거나 상관없다.

 

구조론은 풀세트로 갖추어진 상태, 연료탱크에 휘발류를 가득채운 상태, 완전성에 도달한 상태에서 닫힌계를 분명히 하고 마이너스 방향으로만 전개하므로 지금 유량계에 기름이 얼마 남았고 앞으로 그 자동차가 최대 몇 킬로를 더 갈 수 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지금 연료탱크가 바닥이고 가다가 기름을 더 채울 수 있다면 앞으로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 알 수 없다. 구조론은 명확히 답이 나오는 마이너스 방향으로만 진행한다.

 

 

 

http://gujoron.com




[레벨:15]오세

2011.09.06 (03:05:27)

전송됨 : 트위터

구조론은 풀세트로 갖추어진 상태, 연료탱크에 휘발류를 가득채운 상태, 완전성에 도달한 상태에서 닫힌계를 분명히 하고 마이너스 방향으로만 전개하므로 지금 유량계에 기름이 얼마 남았고 앞으로 그 자동차가 최대 몇 킬로를 더 갈 수 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지금 연료탱크가 바닥이고 가다가 기름을 더 채울 수 있다면 앞으로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 알 수 없다. 구조론은 명확히 답이 나오는 마이너스 방향으로만 진행한다

----------------

그래서 상부구조를 찾는 것이구려.

하부구조에서 플러스처럼 보이지만, 상부구조에선 마이너스.

차에 기름을 채우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주유소에서 기름이 빠져나간것.

유기체가 성장을 하고 발달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유전적 잠재력을 빼내어 쓰는 것.

자본주의가 이윤을 창출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태양 에너지를 온갖 형태로 빼먹는것.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1.09.06 (10:56:04)

참고로 말해두는 바

 

모르고 어원이야기 하는 사람 여기 저기 많은데

A의 어원은 B 하는 식으로 일대일 대응시키는 식으로 주장하면

의태어와 명사를 제외하고는 백프로 근거없는 개소리입니다.

 

이른바 민간어원설이지요.

기본적으로 그런건 어원이 아닙니다.

언어는 진화하므로 어원의 어원의 어원이 있는 것이며 계속 가는 것입니다.

일대일 매칭은 없습니다.

 

물론 의태어의 경우 chick는 참새가 짹짹하는 소리고

명사는 일본어 도리()의 어원은 우리말 닭이고

일대일로 매칭이 됩니다.

 

그러나 명사도 대개 어원을 추적해보면 어원의 어원이 또 나옵니다.

우리말 말이 몽고말 몰(조랑말이 몽고에서는 조로몰)에서 왔다고

개소리 하는거 흔히 듣는데 말도 안 되죠.

 

한자어 마()도 몽고말에서 왔게요?

중국엔 말이 없었나요?

마는 석봉천자문 표기고 중국어도 발음이 지역마다 달라요.

표준으로 되어 있는 북경어 보통화는 원래 거란, 여진족 사투리입니다.

남북조시대부터 북경지역은 연운16주라 해서 천년간 오랑캐에게 뺏겼습니다.

mare는 암말로 되어 있는데 원래 그냥 말입니다.

horse는 탈것을 뜻하는데 전쟁터에 암말을 가져오면

발정나서 말들의 전쟁으로 난리가 나기 때문에

mare는 새끼 젖 주게 집에 매어놓고 전쟁터엔 숫말을 데려가는 거지요.

 

mare, , (), 몰 다 같은 뿌리인데

원래 어원은 무리라는 뜻입니다.

말이 무리지어 다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최종적인 어원은 대개 동사입니다.

명사는 궁극적인 어원이 될 수 없어요.

 

예컨대 참의 어원은 뜸인데

그냥 뜸이다 하고 끝나는게 아니고

>>>>띄엄>띄움>드문>>때움>>토막>도마>

등 적어도 30개 어휘 이상 많으면 1백개 어휘 이상의 그룹 안에서

어원이 규명되는 것입니다.

 

일대일 매칭은 어원이 될 수 없습니다.

단 명사의 1차어원 혹은 의태어는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뭐의 어원은 뭐다 하는 식으로 일대일로 매칭시켜서

주워섬기는 주장은 일단 개소리라고 보면 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26 스티브 잡스의 성공비결 image 3 김동렬 2011-10-18 15322
2325 구조론을 대하는 자세 image 김동렬 2011-10-18 11507
2324 세상은 코디다. 3 김동렬 2011-10-17 10341
2323 최홍만이 귀엽다? image 6 김동렬 2011-10-13 15607
2322 세상의 진지한 바보들에게 1 김동렬 2011-10-12 12063
2321 장사꾼의 마이너스 방법 image 김동렬 2011-10-10 20068
2320 123457 image 김동렬 2011-10-07 16716
2319 12345 image 김동렬 2011-10-06 15107
2318 완전성에서 출발하라. image 1 김동렬 2011-10-05 12037
2317 일의 원리 image 김동렬 2011-10-03 19676
2316 예술 완전성 데미지 김동렬 2011-10-02 15068
2315 차원의 정의 image 김동렬 2011-09-28 19567
2314 빛보다 빠른 것이 있다? 5 김동렬 2011-09-27 12815
2313 위상의 균일 image 5 김동렬 2011-09-25 10861
2312 바닥의 메커니즘 image 1 김동렬 2011-09-22 13149
2311 세상의 근본은 대칭이다. image 김동렬 2011-09-21 17647
2310 사색문제 image 김동렬 2011-09-12 18541
2309 5분만에 끝내는 철학강의 image 2 김동렬 2011-09-11 15125
» 지식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1-09-05 26312
2307 집합론과 구조론 김동렬 2011-09-05 16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