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방

로봇기술 여기까지 왔다.

원문기사 URL : http://www.msn.com/ko-kr/news/techandsci...ocid=ientp 
프로필 이미지
cintamani  2018.10.12

보스톤 다이내믹스의 로봇이 뛰어다니는 게 되는군요.

갑자기 터미네이터가 생각나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ahmoo   2018.10.12.


이젠 확실히 중력을 이용하기 시작하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챠우   2018.10.12.

양다리의 밸런스를 제어하는 골반을 소프트웨어로 실현했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8.10.12.

신체구조상 사람의 보행법이 아니라

제자리 턴을 못하는 닭이나 공룡의 보행법이오.

반동력을 회수하지 못하는 비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이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챠우   2018.10.14.

자세제어를 위해서 여전히 자이로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서 에너지의 낭비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자이로는 좌에서 발생한 동력을 우로 전달하지 않고 좌로 돌려버리죠. 그래서 팔다리가 각각, 좌우가 따로, 노는 것처럼 보입니다. 밸런스를 맞추는 방법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하지 않는 이상 본질적인 발전은 없고 소프트웨어만 발전하고 있는 느낌입니다. 밸런스만 맞추는 것이 아니라 양측의 힘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골반의 원리인데 말이죠. 


그래도 예전보다 모터의 토크가 좋아진 건 인정. 


다만 골반과 같은 저울을 만드려면 이를 통제하는 인공지능도 밸런스 원리가 사용되어야 하는데, 시퀀스만 알고 밸런스(대칭)를 잘 모르는 서양 놈들이 할 리가 만무. 하나로 둘을 통제하지 않는 이상 근육도 지능도 계속 에너지 낭비. 이게 현대 인공지능의 현주소. 밸런스가 밸런스만 맞추려고 있는 것이 아니라, 밸런스를 통해 힘을 몰아주는 역할도 하는 것. 


한편 개다리가 얇음에도 빨리 뛸 수 있는 것은 4족 보행이 2족 보행보다 실현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2족 동물이 4족 동물에 비해 근육제어가 더 섬세해지므로, 인간이 다른 동물과 근육 외형의 크기가 비슷해보임에도 그 힘은 약합니다. 동일에너지를 사용할 때, 섬세하면 힘이 약해지는게 당연지사입니다. 섬세하려면 섬세를 제어하는 방향 전환에 필요한 근육의 연동이 많아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보스톤다이내믹스의 로봇은 구동부의 수가 인간에 비해 절대적으로 적습니다. 더 적은 구동부로 인간의 많은 근육이 조합하여 이루어낸 2족 보행을 따라하려니 자이로가 필수가 된 겁니다. 결론은 더 많은 근육을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의 문제인데, 모터만으로는 어려움이 있고, 인공근육이 만들어져야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있습니다. 인공근육은 덕지덕지 붙이기가 쉬워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8.10.14.

닭보행법과 인간보행법은 틀린데

골반구조가 달라서 닭은 커브를 잘 돌지 못합니다.

동영상이 얼핏 괜찮아 보이지만 사실은 본질을 숨기고 있습니다.